책소개

불교문화의 참된 가치를 알리는「불교문화총서」 제3권 『북한산성과 팔도사찰』. 불교문화의 숨은 가치를 찾아내어 그 역사와 의미를 되짚어 보는 시리즈이다. 외세와 치열한 항전을 벌여 우리 땅을 지켜냈던 호국의 터전 북한산성의 현장과 북한산에 대해 살펴본다.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호국 불교역사의 의미를 새롭게 정리하는 한편, 불교문화의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저자소개

이병두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태리어과를 졸업했다.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박사과정을 수료한 뒤 오산대·명지대에서 강의했고 사단법인 파라미타청소년연합회 사무국장·사무총장을 지냈다. 불교포커스, 현대불교, 법보신문에 칼럼을 연재하며 국내외 불교계와 관련해 활발한 기고활동을 했으며, 번역서로 『조선불교통사 근대편』, 『영어로 읽는 법구경』, 『담마난다스님의 불교이야기』, 『지혜로운 삶의 교훈 채근담』 등이 있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종무관으로 재직하고 있다.


목차

제1장 북한산, 그리고 북한산성

북한산 이야기
1. 북한산이란
2. 서울을 감싼 명당, 북한산

북한산에 성을 쌓다
1. 작은 토성을 이어 거대한 산성으로
2. 국난을 극복한 방어기지, 남한산성과 북한산성
3. 북한산성 축조를 승려들이 맡다
4. 북한산성의 구조와 시설
5. 승군, 삼군문과 함께 산성을 관리하다
6. 북한산성 축성의 일등공신, 계파 성능

제2장 북한산성의 사찰, 그 역사와 불교적 의미

1. 현재까지 남아 있는 승영사찰
2. 절터만 남아 있는 곳
3. 새로 지은 사찰

제3장 지금도 살아 숨쉬는 북한산성의 사찰

1. 오늘날 승영사찰의 모습과 미래를 향한 제안
2. 천만 명이 찾는 열린 공간, 북한산과 북한산성

제4장 문헌기록에 보이는 북한산성 안의 사찰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