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은『섭대승론』「소지상분」본문과 이에 대한 무성(Asvabhava)의 주석을 티벳역에서 번역한 것이다.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가 인문한국(HK) 사업에 선정되어 단순히 한 종교의 포교 과정이라는 차원을 넘어 문명의 이동과 교류라는 인문학적 지평의 이해를 목적으로 두고 진행된 연구성과의 일부이다.


저자소개

김성철
현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동국대 인도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초기 유가행파의 ‘여래장’ 개념 해석」이 있고, 저서로는 [섭대승론 증상혜학분 연구],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 등이 있다.

박창환
현 금강대학교 불교복지학과 교수
서울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버클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法稱(Dharmakīrti)의 감각지각(indriyapratyakṣa)론은 과연 經量部적인가 가 있다.

차상엽
현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이당뀐시까델의 심식설에 나타난 원측의 영향」, 공저로 󰡔대승불교의 보살 등이 있다.

최은영
현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교수
고려대 농화학과와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철학과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을 전공으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논문으로는 「아려야식과 관련된 용어와 심식설로 보는 진제의 사유체계」,『인물로 보는 한국의 불교 사상』(공저, 예문서원), 역서로 『대방편불보은경』(홍익출판사)이 있다.


목차

해제
1. 알라야식의 동의어와 선구개념(§§ 1-13)
1) 알라야식의 동의어(§§ 1-9)
2) 알라야식의 선구개념(§§ 10-13)
2. 알라야식의 특징(§§ 14-28)
1) 알라야식의 세 가지 특징(§ 14)
2) 훈습과 종자(§§ 15-18)
3) 알라야식의 연기
3. 알라야식의 존재증명(§§ 29-57)
1) 알라야식 존재증명의 서론(§ 29)
2) 세 가지 잡염의 불성립(§§ 30-42)
3) 두 가지 청정의 불성립(§§ 43-49)
4) 알라야식 존재증명의 결론(§ 56)
5) 부론: 알라야식과 토대의 전환(§ 57)
4. 알라야식의 여러 측면(§§ 58-62)
1) 알라야식의 세 측면(§ 58)
2) 알라야식의 네 측면(§ 59)
3) 부론: 알라야식의 도덕적 성격(§ 62)

약호
참고문헌
역자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