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유마선원에서 대중 포교와 수행에 전념하면서 부처님의 정법을 널리 펴온 이제열 법사님이 원각경을 새롭게 해석한 원각경 해설서를 세상에 내놓았다.

원각경의 본래 제목은「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이다.

원각경은 모두 1권 12장으로 구성되었고, 문수보살 보현보살을 비롯한 열두 보살과 부처님과의 대화를 통하여 어떻게 하면 중생들이 허깨비 같은 무명(無明)을 끊고 불성을 드러내어 진실하고 뚜렷한 완전한 깨달음에 들 수 있을 것인지를 밝히고 있다.

지고한 깨달음의 경지인 원각을 돈교(頓敎)적 측면에서 설함과 동시에 그에 이르는 수행법을 점교(漸敎)적 측면에서 가르치고 있어, 상근기나 하근기 모두가 필수적으로 의지해야 할 경전임을 강조한다.

중국에서 만들어진 위경(僞經)이 아니냐는 논란도 있지만, 그 뜻이 대승불교의 묘의를 밝히는 데 조금도 모자람이 없으므로 오랫동안 불교의 핵심적 수행 경전으로 추앙받아 왔다.

중생들에게 남아있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다. 오로지 금생에 해야 될 가장 큰일이 있다면 마음을 깨닫는 일이다.


저자소개

이제열
적연(寂然) 이제열 법사는 유마선원에서 수행 정진중이고 포교에도 전념하고 있다. 저서에 「(수행자를 위한)금강경 대강좌」 「수행으로 가는 길」「법수로 배우는 불교」「원각경」「왕초보 금강경박사 되다」 등이 있다.


목차

『원각경』대의大意

01. 경이 생긴 동기│動機│
02. 문수보살장│文殊菩薩章│
03. 보현보살장│普賢菩薩章│
04. 보안보살장│普眼菩薩章│
05. 금강장보살장│金剛藏菩薩章│
06. 미륵보살장│彌勒菩薩章│
07. 청정혜보살장│淸淨慧菩薩章│
08.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09. 변음보살장│辯音菩薩章│
10. 정제업장보살장│淨諸業障菩薩章│
11. 보각보살장│普覺菩薩章│
12. 원각보살장│圓覺菩薩章│
13. 현선수보살장│賢善首菩薩章│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