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에 전파된 모든 종교는 토속신앙이랄 수 있는 샤머니즘과 결합되어 그 의미가 샤머니즘적으로 해석된다. 기독교 역시 마찬가지의 절차를 밟아왔다. 하지만 저자는 그 사상의 변질을 우려해 샤머니즘과 기독교를 분리해 다루고 있다. 샤머니즘이 기독교의 전파에 끼친 악영향에 포커스를 두고 탐구했다.


목차

제1장 서론 ... 11

제2장 한국 샤머니즘에서 추구하는 영력 ... 19
제1절 영력의 근원인 영적 존재들 ... 21
1. 영적 존재들 ... 22
2. 영적 존재들의 성격 ... 26

제2절 영력을 추구하는 사람들 ... 29
1. 샤머니즘 문화권 사람들의 필요 ... 30
2. 가족중심주의 ... 32
3. 영적 존재들로부터 오는 해로움에 대한 공포 ... 34
4. 영력을 추구하는 동기 ... 35

제3절 영력의 통로인 무당 ... 37
1. 두 종류의 빙의 ... 37
2. 굿에서의 구체적인 빙의 절차 ... 41
3. 무당의 도제식 훈련과정 ... 42
4. 굿과 신화의 역할 ... 42
5. 무당이 하는 일 ... 45
6. 중재자로서의 무당의 역할 ... 47

제3장 한국 기독교의 영력 개념 ... 55
제1절 공식적 기독교와 민간 기독교의 구분 ... 58

제2절 한국의 고식적 기독교 ... 59
1. 영력에 대한 공식적 신학의 입장 ... 59
2. 공식적 기독교에 대한 서구적인 영향 ... 60

제3절 한국 민간 기독교 ... 66
1. 기도원 집회에서의 영력 추구 ... 67
2. 전형적인 민간 유형의 지도자 이용도 목사와 그의 영력 개념 ... 73
3. 민간 기독교에서의 영력 개념 ... 83
4. 한국 민간 기독교에 대한 샤머니즘의 영향 ... 85

제4장 샤머니즘으로부터의 긍정적인 수용 사례 ... 89
제1절 상황화의 필요성 ... 90

제2절 한국 샤머니즘 문화 속에서의 상황화 사례 ... 94
1. 최고신 신앙 ... 94
2. 불안정한 실존을 지닌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 ... 95
3. 영적 세계관 ... 96
4. 능력 위주의 사역 ... 97
5. 능력 대결 ... 100
6. 기복 신앙 ... 102
7. 혈연의 유대를 중시하는 가치관 ... 103
8. 체험 위주의 지도자 양성 ... 105
9. 여성 리더십의 효과적인 활용 ... 106
10. 권위 있는 지도자 ... 107
11. 기도와 영성 위주의 신앙 ... 108

제5장 교회에 미친 샤머니즘의 부정적 측면들 ... 109
제1절 샤머니즘의 혼합주의적 성격 ... 111
제2절 한국 민간 기독교와 성경적 진리 ... 114
제3절 교회 속에 들어온 한국 샤머니즘의 부정적 요소들 ... 115

제6장 샤머니즘 문화권에서의 사역 전략 ... 141
제1절 샤머니즘 문화 속에서의 복음화 전략 ... 142
제2절 탈샤머니즘의 과제 ... 147

제7장 결론 ... 157

참고문헌 ... 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