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그 마음을 가져오너라

기본 정보
정가 9,800원
판매가 절판
저자/출판사 김석종 외/조계종출판사
적립금 44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39
발행일 2008-11-24
상품간략설명 일간지 기자 열한 명의 중국 선종사찰 순례기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그 마음을 가져오너라
정가 9,800원
판매가 절판
저자/출판사 김석종 외/조계종출판사
적립금 44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39
발행일 2008-11-24
상품간략설명 일간지 기자 열한 명의 중국 선종사찰 순례기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이 책은 신문사 종교기자들이 중국 선종사찰순례를 다녀온 기록을 엮은 것이다. 2007년에 ‘선(禪)의 원류를 찾아서’와 2008년에 ‘간화선 순례’를 주제로 중국 선종사찰을 답사하고 선승 고우 스님의 안내로 불자들이 동행하였는데, 여기에 일간신문 종교 기자들이 취재차 함께한 기록들을 담고 있다.

모두 20여 곳의 사찰을 답사한 기자들은 각자 자신의 안목에 따라 한국에 전해졌던 중국 선(禪)의 역사, 그리고 아직껏 남아 있는 문화에 대해 글로 낱낱이 풀어놓았다. 최근 간화선에 대한 열기 고조와 이에 따른 중국 선종사찰 순례가 빈번하다. 이 책은 또 다른 ‘순례’를 꿈꾸는 이들에게 좋은 길라잡이 역할을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김석종 경향신문
김종락 문화일보
윤영찬 (전) 동아일보
서화동 한국경제
김회경 한국일보
김성호 서울신문
정천기 연합뉴스
김한수 조선일보
백성호 중앙일보
조현 한겨레
정성수 세계일보


목차

추천사 - 지관 조계종총무원장
중국 선종사찰순례를 다녀와서 - 고우 조계종 원로의원

01 마음을 가져오너라. 편안케 해 주리라 - 초조 달마선사 / 소림사, 달마굴, 초조암
02 그대의 죄는 참회가 끝났다 - 이조 혜가선사 / 달마굴, 이조암
03 속박하지 않았는데 무엇 때문에 해탈을 구하느냐 - 삼조 승찬선사 / 삼조사
04 네 성이 무엇이냐 - 사조 도신선사 / 사조사
05 본래 한 물건도 없다 - 오조 홍인선사 / 오조사
06-1 바람이 움직인 것인가 깃발이 움직인 것인가 - 육조 혜능선사 / 광효사
06-2 혜능, 선을 세상에 알리다 - 육조 혜능선사 / 대감사
06-3 본래 한 물건도 없다 - 육조 혜능선사 / 남화선사
06-4 마음에서 만 가지 법이 생긴다 - 육조 혜능선사 / 국은사
07 날마다 좋은 날이구나 - 운문 문언선사 / 운문사
08 서 있는 그 자리의 주인 - 임제 의현선사 / 임제사
09 차나 한잔 하고 가게나 - 조주 종심선사 / 백림선사
10 천 가지 만 가지 의심이 한꺼번에 부서지리라 - 대혜 종고선사 / 경산사, 천령사, 아육왕사, 천동사
11 몽둥이를 휘둘러 달을 때리는구나 - 고봉 원묘선사 / 천목산

후기 - 박희승 조계종 총무원 기획차장


출판사 리뷰

선(禪) … 그리고 눈 밝았던 스승에 대한 사무치는 그리움

십수 년 전부터 인도를 찾는 한국인들의 숫자가 급속히 늘었다. ‘명상’이나 ‘느림’을 찾아 떠난 이들도 많았지만 꽤 많은 숫자가 부처님이 탄생하고 열반한 유적지를 찾던 스님과 신자들이었다. 이슬람교도들이 하지 기간이면 메카나 메디나에 수백만 명이 운집하고 유대교나 기독교인들이 오순절에 앞을 다투어 예루살렘 거리를 가득 메우는 것과 다르지 않은 풍광이 인도에서도 벌어졌던 것이다.
하지만 몇 년 전부터는 오히려 중국을 방문하는 스님과 신도들의 숫자가 부쩍 늘었다. 3개월 동안 선방에만 앉아 참선에 들었던 스님들도 만행을 할 때가 되면 ‘중국’을 꿈꾼다.

왜 중국인가?

이런 ‘유행’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하나는 선(禪)불교가 가지고 있는 사자상승이라는 독특한 전통 때문이고, 또 하나는 한국불교의 법맥이 중국에 바로 잇닿아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20~30년 전부터 사찰 복원에 열심이었던 중국 정부의 노력 때문이기도 하다.


1. 부처의 위치에 버금가는 조사(祖師)
선(禪)은 마음의 문제를 다룬다. 이런 연유로 선의 가르침은 문자밖에 존재하며(敎外別傳), 오직 스승과 제자 사이에 마음과 마음을 통해(以心傳心) 전해져 왔다. 때문에 선가(禪家)에서는 스승에서 제자로 법맥이 전해져, 제자가 이를 수지하는 사자상승(師資相承)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다. 스승의 위치는 부처님에 버금가는 정도로 높다. 이런 전통은 스승의 사리를 모신 부도탑을 세우거나 스승이 머물렀던 사찰이나 토굴을 방문하는 문화를 남겼다.

2. 한국 선불교의 뿌리인 중국 선사들

선은 석가모니부처님 이래의 인도불교에 그 기원을 두고 있지만 오늘날 전해지는 선불교는 중국 선종이 이룩한 사상적 성과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때문에 한국의 선승들은 자신들의 먼 스승 중국을 고향처럼 동경하기도 한다. 때로 몽둥이질(棒)을 해대고 고함(喝)을 치며 멱살을 잡고 내동이 치는 스승이지만 결국 언어의 길이 끊어진 자리를 가리키기 위한 방편임을 알고 있었기에 그 자취를 또 찾는 것이다.

3. 복원에 한창인 중국의 선종 사찰들

현재 중국은 세계의 방문객들을 겨냥해 대대적인 사찰의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20여개의 사찰 중 대부분이 1980년과 1990년을 거치며 복원된 것들이고 아직도 공사가 한창인 곳이 많다. 때론 중국인의 상술에 혀를 내두르기도 하지만 폐허를 방문하는 것보다는 유쾌한 느낌이 분명하다.

이런 연유들로 최근 중국 선종사찰을 방문하는 이들은 끊임이 없다. 이에 발맞춰 중국불교의 역사를 소개하는 책들부터 중국불교 미술을 알려주는 책들이 계속 출판되고 있고 또 중국 선불교와 그 유적지를 소개하는 책들도 심심치 않게 출간되고 있다.


일간지 종교 담당 기자 - 보고 듣고 느끼다

이 책은 신문사 종교기자들이 중국 선종사찰순례를 다녀온 기록을 엮은 것이다. 2007년에 ‘선(禪)의 원류를 찾아서’와 2008년에 ‘간화선 순례’를 주제로 중국 선종사찰을 답사하였다. 선승 고우 스님의 안내로 불자들이 동행하였는데, 여기에 일간지와 통신사 종교 담당 기자들이 취재차 함께하였다.
기자들은 각자 자신이 속한 매체에 중국 선종 사찰을 답사한 이야기를 실었고 다시 단행본을 염두에 두고 각자의 기사를 보충하고 재편집했다.
기자들은 일간지의 ‘종교’ 지면을 담당하고 있는 전문기자답게 종교와 불교에 대한 깊은 성찰과 안목을 가지고 독자들을 중국 선불교의 세계로 안내했다.
달마에서 혜능으로 이어진 선불교의 초기시대 그리고 대혜 종고와 고봉 원묘에 이르러 선불교의 꽃을 피운 간화선의 세계까지 그 역사를 지면마다 풀어놓았고 선사들이 제시한 화두를 다시 세상에 펼쳐놓고 있다. 독자들은 선사들의 행적과 선문답 사이를 오가며 중국에 선불교가 뿌리내리게 된 이유와 그것이 한국에 전해지게 되는 계기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중국에 남아 있는 선불교의 자취와 그 풍광을 소개하면서 또 다른 ‘순례’를 꿈꾸는 이들에게 친절한 안내자 역할을 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단순한 답사기나 여행기를 넘어서는 가치가 있다. 순례기이자 구도기임을 분명히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순례를 다녀온 지 꽤 시간이 흘렀다. 생각해보니 그때나 지금이나 문제는 ‘나’ 였다. 쑹산 소림사에서 조계산 남화선사까지를 돌아보며 머리로만 받아들인 여섯 조사들의 가르침이 무엇인지 가늠하고자 애써도 보이는 것은 손가락 뿐, 달은 여전히 보이지 않는다. -

「마음을 가져오너라. 편안케 해 주리라」 중 (김종락)

위의 글처럼 누구나 ‘안목’을 갖고 중국의 선찰(禪刹)을 방문한다면 또 다른 느낌을 받을 것임을 이 책은 쳀야기 하고 있다.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