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불멸 - 실체없는 자존심

기본 정보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보만,화현/지혜의눈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24
발행일 2006-12-26
ISBN 9788995895405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불멸 - 실체없는 자존심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보만,화현/지혜의눈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24
발행일 2006-12-26
ISBN 9788995895405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화현 스님의 영원한 지금의 메시지, 『불멸』. 드러난 듯 숨겨진 정신적 스승, 이각 스님의 법문 등을 근거로 삼아 영원히 사라지지 않을 불교의 진리를 문답 형식으로 가르쳐주고 있다. 불교의 진리는 물론, 일상생활에 대한 번뇌도 풀어준다. 양장본.


목차

엮은이의 말 = 23
오늘날 불교는 하지 말라는 것이 너무 많다 = 25
죽는 불사조(不死鳥) = 34
이 책을 만난 모든 인연에게 = 36

비로소 일어서다 = 38
1. 불교를 믿고 싶습니다 = 41
1. 불교란
2. 불도를 처음 접한 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 45
2. 진정한 삶
3. 일체(一切)의 일(一)은 무슨 뜻입니까 = 47
3. 일체(一切)란
4. 하늘 위든 하늘 아래든 오직 나 홀로 존재한다는 말이 무슨 뜻인지요 = 50
4. 천상천하유아독존
5. 삶과 죽음은 엄연히 다른 것 같은데 스님들은 왜 삶과 죽음이 하나라고 말하나요? = 55
5. 생사일여(生死一如)
6. 무명이란 무엇을 인하여 생기나요? = 58
6. 무명의 원인
7. 부처님께서 질문에 대답하지 않으셨던 이유는 무엇입니까 = 61
7. 사무기(四無記)
8. 명상과 내면의 세계 등에 대하여 = 65
8. 참선, 명상, 좌선
9. 49재의 의미는 무엇이고, 또 망자에게 구체적으로 어떤 도움을 주는 것입니까 = 69
9. 49재
10. 색은 공과 다르지 않다는 가르침을 듣고도 집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 75
10. 색불이공 공불이색의 의미
11. 천도재란 무엇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지요 = 78
11. 천도재
12. 어떤 불경을 먼저 읽어야하나요? = 83
12. 불경 읽는 방법

가부좌의 의미 = 86
13. 법당에 청룡이 그려져 있는 이유는? = 87
13. 청룡의 의미
14. 천당이나 천상은 어떤 세계인가요? = 92
14. 천상의 특징
15. 인형을 사람이라 착각하여 사랑하게 되었습니다 = 96
15. 집착과 삼독을 여의는 방법
16. 마음이 공(空)하다는 뜻이 무엇인지요? = 99
16. 마음, 그리고 공(空)
17. 번뇌는 무엇이고, 왜 생기나요? = 102
17. 번뇌란
18. 생활 속에서 불법을 잊지 않고 행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입니까? = 104
18. 수행
19. 파도는 바다와 다르지 않다는 말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 106
19. 정신의 바다, 몸의 파도
20. 수행방법이 달라도 모두 깨달을 수 있나요? = 109
20. 종교(宗敎)
21. 정말 모든 이들이 깨달을 수 있을까요? = 112
21. 깨달음의 차별
22. 어떻게 해야만 수행의 결과를 체험할 수 있을까요? = 114
22. 깨달음의 결과
23. 속세의 지식과 불교의 지식 = 117
23. 지식 위의 지식, 불경(佛經)
24. 물질의 공함을 설명하는 이유 = 121
24. 일체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하는 주문
25. 제 남편과 저는 어떤 인연일까요? = 125
25. 가까운 이들과의 관계
26. 성주괴공(成住壞空), 생로병사(生老病死), 우비뇌고(憂悲惱苦) = 129
26. 두 가지 법
27. 사찰에 가서 절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131
27. 오체투지
28. 불교에서 연꽃이 상징하는 바는? = 133
28. 연꽃
29. 입관(入棺) 시(時) 다라니를 넣는 이유 = 136
29. 다라니(陀羅尼)와 투명인간
30. 관세음보살이 여자인가요? = 139
30. 보살의 의미
31.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 142
31. 두 번 속은 마음
32. 100일기도로 소원성취가 가능한지요? = 145
32. 이미 모든 것이 갖추어진 보배
33. 불교에서 강조하는 신심과 수행, 그리고 원력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149
33. 신심(信心), 수행(修行), 원력(願力)
34. 불교의 복음은 어떻게? = 153
34. 행과 믿음 - 무엇이 믿어야할 가르침이며 행할 바인가가 더 중요하다
35. 어떻게 하는 것이 올바르게 수지독송하는 것인가요 = 157
35. 수지독송
36. 마음이 힘들 때 절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되나요 = 160
36. 108배
37. 천도재를 하면서 옷을 태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162
37. 옷의 의미
38. 집착을 버린다는 것이 무엇입니까 = 164
38. 집착(執着)
39. 공부를 해서 1등이 되는 것인가요, 1등이 되었기 때문에 공부를 계속하는 것인가요 = 167
39. 인연법(因緣法)
40. 보조국사 지눌의 수심결에 나오는 가죽주머니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 171
40. 수심결의 가죽주머니
41. 이 모든 것은 뇌가 만들어낸 환상에 불과한 것입니까? = 175
41. 뇌(腦)와 색즉시공(色卽是空)의 이치
42. 心不妄取過去法 亦不貪着未來事 不於現在有所住 了達三世實空寂 해석해주세요 = 183
42. 화엄경 십회향품 구절 해석
43. 관세음보살님을 부르면 소원을 들어주시나요? = 185
43.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44. 천상사람들은 옷이 가볍다는데 무슨 뜻이죠? = 190
44. 의복의 의미
45. 어떻게 해야 무소유의 삶을 실천할 수 있을까요 = 192
45. 무소유
46. 불교의 신은 무엇인가요 = 199
46. 신(神)

천수경 참제업장 = 205
47. 불상의 양 옆에 계신 분들은 누구신가요 = 207
47. 삼존불(三尊佛)
48. 왜 저는 전생을 기억하지 못하나요? = 210
48. 전생을 기억하지 못하는 이유
49. 석가모니부처님께서는 태어나서 일곱 걸음을 걸으셨다는데 무슨 뜻이죠? = 214
49. 바람강생상
50. 절에서 붓글씨를 받았는데 무슨 뜻인지 해석 부탁드립니다 = 217
50. 한문해석
51.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나요? = 220
51. 유리병 속의 새를 꺼내는 법

18층 지옥 = 223
52. 부처님은 왜 경전 집필을 하지 않으셨나요? = 224
52. 부모와 자식의 법칙
53. 부처님의 손을 도라면수(兜羅綿手)라고 표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228
53. 도라면수(兜羅綿手)
54. 불교에서는 꿈을 어떻게 정의하나요? = 231
54. 꿈의 실체
55. 깨달음의 경험은 이런 것인지요? = 236
55. 깨달음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56. 공(空)의 가르침을 주십시오 = 240
56. 자증법상(自證法相)
57. 선문의 격외구 '구구는 팔십일(9×9 = 81)' = 244
57. 9×9=81은 9×9=81이 아니다 (非)
58. 온갖 욕망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 = 248
58. 욕구와 욕망
59. 과거심불가득 미래심불가득 현재심불가득 = 251
59. 일체의 기준인 '나'
60. 이 뭣고의 '이'는 불성을 가리키는 것인지요? = 253
60. 화두 수행 '이 뭣고'
61. 불생불멸(不生不滅), 불구부정(不垢不淨), 부증불감(不增不減) = 257
61. 업(業)

영원한 사랑 = 259
62. 스님들께서 육식과 오신채를 드시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263
62. 오신채와 육식
63. 수행을 해도 예전의 나로 자꾸 되돌아옵니다 = 266
63. 모래위의 성
64.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습니다 = 269
64. 고통에서 벗어난다는 것
65. 원인으로 시작하여 원인으로 끝난다 = 273
65. 상주법의 의미
66. 물질이라는 것의 의미 = 275
66. 물질과 감각
67. 거대한 윤회의 법칙에 대해 여쭈어봅니다 = 278
67. 윤회의 근본 법칙
68. 무조건적인 믿음만이 진리인가요? = 281
68. 선지식의 중요성
69.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고,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 282
69. 우주의 시작과 끝
70. 거리에 나가면 여기가 거리라고 생각하기 전에 그것을 생각하는 마음의 자리가 여기임을 알라 = 288
70. 투명하여 영원할 수밖에 없는 나의 즐거움(常樂我淨)
71. 깨달으면 모든 것을 알게 되나요? = 296
71. 이치를 통달하는 지혜

염화미소 = 301
72. 생각 이전의 상태에서 모든 것을 본다 = 303
72. 생각이전의 상태(無記)
73. 업이란 결정된 길을 만들게 되나요? = 309
73. 업과 윤회

불도를 닦고자 하는 이에게 = 313
74. 혼자만의 의미로 슬퍼했습니다 = 316
74. 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75. 무도(武道)로써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유지해가고 있습니다 = 321
75. 바람과 같은 삶, 자유
76. 한 순간도 정지해 있지 않은 나 = 323
76. 지금을 이루는 법칙
77. 고통을 이겨내는 방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 325
77. 고통(苦痛)
78. 보호임지란 무슨 뜻인가요? = 328
78. 보호임지(保護任持)
79. 불경의 내용을 알지 못해도 독경을 들으면 편안해질 수 있나요? = 331
79. 염불(念佛)
80. 망자를 위해 보살명호를 외우는 것은 어떤 의미입니까? = 334
80.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 그리고 수지독송의 의미
81. 마음이 사라진다는 것은 어떤 경치입니까? = 343
81. 바람이 없으면 허공이 있음을 알 수 없다
82.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 없이 깨달음과 하나 되는 법문을 부탁드립니다 = 349
82. 허공 되기

유식삼십송 = 352
83. 불상은 왜 발광(發光)을 하나요? = 354
83. 부처님의 발광(發光)
84. 불경을 읽는 이유 = 356
84. 불경
85. 삼장법사는 실존인물인가요? = 358
85. 서유기
86. 무아(無我)와 상락아정(常樂我淨)의 아(我)는 무엇이 다른가요 = 363
86. 상락아정(常樂我淨)과 무상(無常) 고(苦) 무아(無我) 부정(不淨)
87. 보살이란 무엇입니까 = 369
87. 보살(菩薩)이란
88. 우리 마음에서 수미산과 철위산은 어떤 의미입니까 = 373
88. 수미산과 철위산

허공, 신(神) = 374
89. 하늘과 땅이 불에 타 없어지는 종말이 정말 있나요? = 377
89. 삼천대천세계, 천상천하 유아독존
90. 어떤 것이 진정한 불자의 모습입니까 = 382
90. 불심(佛心)
91. "복덕이 차라리 많다."라는 말이 무슨 뜻이죠? = 388
91. 삼천대천세계 칠보 이용보시
92. 반야심경 해석 부탁드립니 다 = 391
92.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 일체고액 사리자(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蜜多時 照見五蘊皆空 度 一切苦厄 舍利子) 해석
93. 불교에 대한 4가지 질문 = 399
93. 정치적 색깔, 계율, 진화론, 종교관
94. 신통력으로 남의 업을 끊을 수 있는지요? = 409
94. 신통력의 의미
95. 무념의 경치 = 413
95. 선(禪)과 선(善)하다는 것
96. 감각이 없으면 세상이 사라지는 것입니까? = 418
96. 감각능력
97. 기존의 스님들에 대해 비판하시는 이유를 알려주십시오 = 420
97. 보살
98. 공(空)은 경계할 어떤 것인가요? = 425
98. 단 하나 각(覺)
99. 관정법사가 아미타불을 친견했다는 사실 = 427
99. 아미타불과 관세음보살

번뇌즉보리 = 429
100. 꿈에서 꿈인 것물 알았을 때 꿈을 이용할 수도 있습니까? = 430
100. 꿈과 현실이라는 분별
101. 생각은 단지 육체의 활동이 아닌가요? = 434
101. 두뇌의 역할
102. "저 산문 밖의 찰간을 꺾어 버려라." = 437
102. 여시아문(如是我聞), 그리고 가섭의 화두
103. 4대 생불과 깨달은 이들의 윤회 = 444
103. 생불(生佛)과 사불(死佛), 중생이 윤회하는 법칙
104. 괴로움의 원인을 삼법인 때문이라고 할 수 있나요? = 450
104. 삼법인(三法印)
105. 가르침의 으뜸이라 불리는 법화경에 대해서 = 456
105. 실상묘법연화경(實相妙法蓮華經)
106. 색에 머무는 바 없이 보시를 하라는 뜻이 무엇입니까? = 459
106. 부주색보시(不住色布施)
107. 내생 모습을 결정짓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 463
107. 업식성(業識性)
108.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연기와 윤회는 같은 것인가요? = 466
108. 12연기(十二緣起)와 윤회(輪廻)
109. 부처님을 부르는 이름이 왜 그렇게 다양한가요? = 475
109. 여래 십호(如來十號)
110. 예불을 드릴 때 나오는 여러 가지 향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 482
110. 오분향(五分香)
111. 거지에게 돈을 주었습니다. 이것도 보시인가요? = 488
111. 보시(布施)

불심의 반대되는 말 = 491
112. 일승법이란 무엇인지요? = 492
112. 법화경의 일승법
113. 똑같은 정신작용에 가능과 불가능이 나누어지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494
113. 두 가지 정신작용
114. 여성은 성불할 수 없다는 말을 믿을 수 없습니다 = 497
114. 여성성불
115. 합장의 뜻이 무엇인가요? = 501
115. 합장(合掌)
116. 속세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 507
116. 생활수행

깨달음의 기쁨에 젖어 있는 이에게 = 509
117. 서산대사 임종게를 해석해주세요 = 510
117. 서산대사 임종게
118. 육근과 오온의 관계는 무엇인가요? = 513
118. 오온(五蘊)과 십팔계(十八界)의 관계
119. 수기를 받는 석가세존의 일화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519
119. 연등불(燃燈佛)

아는 것과 체득하는 것 = 523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