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북원경과 남한강 불교문화(연세근대한국학총서 18/H-021)

기본 정보
정가 34,000원
판매가 30,600원
저자/출판사 이인재/혜안
적립금 1,5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87
발행일 2016-11-30
ISBN 9788984945661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북원경과 남한강 불교문화(연세근대한국학총서 18/H-021)
정가 34,000원
판매가 30,600원
저자/출판사 이인재/혜안
적립금 1,5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87
발행일 2016-11-30
ISBN 9788984945661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북원경과 남한강 불교문화』는 강원도 ‘원주’를 소재로 도시사의 새로운 서술 목표와 서술방식을 모색한 책이다. 제1편 삼국~고려시대 원주지방사의 전개, 제2편 북원경(북원부)의 불교문화, 제3편 고려전기 대장경연구의 전통과 원주, 제4편 원주문화재 환수운동과 원주 폐사지의 세계유산적 가치 등 모두 네 편으로 나누어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라는 중세 성립 전·후기의 원주 주민들의 동향과 중요하게 생각했던 문화적 가치, 그리고 남한강 불교계의 활동과 역사적 의의를 서술하고자 하였다.


저자소개

저자 : 이인재

저자 이인재
연세대학교 사학과 졸업. 동 대학원 문학석사 및 박사
연세대학교 원주캠퍼스 인문예술대학 역사문화학과 교수
한국역사연구회 회장(2011)/인문예술대학장(2013)/인문도시 원주 사업단장(2015)
『운곡시사』, 『지방지식인 원천석의 삶과 생각』, 『2011 매장문화재법의 두 가지 현안과 대안』, 『한국토지용어사전』 외 다수


목차

책머리에

서론 : 원주 지방사를 보는 관점과 방법
Ⅰ. 일방적 관점에서 주체적·관계적 관점으로의 변화
Ⅱ. 21세기 지방사를 보는 새로운 관점
Ⅲ. 고·중세 원주문화 연구 방법의 모색

제1편 삼국~고려시대 원주지방사의 전개

제1장 법천리 고분군과 중원고구려비를 통해서 본 삼국시대 원주原州와 백제ㆍ고구려와의 관계
Ⅰ. 문제의 제기
Ⅱ. 법천리 고분군을 통해 본 마한·백제와의 관계
1. 일화국과 6호 토광묘주의 마한·백제내 위치
2. 1·2호분 석실분 조성세력과 백제와의 관계
Ⅲ. 중원 고구려비를 통해본 평원군과 고구려와의 관계
Ⅳ. 맺음말

제2장 신라 통일기·나말여초 북원경과 북원부
Ⅰ. 머리말
Ⅱ. 7~8세기 북원경北原京의 설치와 운영
Ⅲ. 9~10세기 후반 북원부北原府 정치세력의 동향과 불교계의 역할
1. 9세기 북원부의 설치와 정치ㆍ불교계의 동향
2. 10세기 전반 정치세력의 동향과 불교계의 역할
Ⅳ. 맺음말

제3장 나말여초 사회변동과 후삼국
Ⅰ. 머리말
Ⅱ. 주군州郡의 반부叛附와 신라 나마奈麻 영기令奇의 공포심
Ⅲ. 사회 변동의 주인공들 : 호족층豪族層, 호부층豪富層
Ⅳ. 미완의 왕조국가 건설자들 : 후백제 견훤 정권과 태봉 궁예 정권
Ⅴ. 맺음말

제4장 고려시대 원주의 행정체계와 원주인의 동향
Ⅰ. 고려 건국기 원주의 역사 지리적 배경
Ⅱ. 고려 전기 원주의 지배구조와 행정체계
1. 태조~성종 대 원주의 지배구조와 행정체계
2. 현종~원종대 군현정책과 원주민의 대응
Ⅲ. 고려 전기 지방지배층의 동향과 문화의 특성
1. 지방지배층의 동향
2. 원주문화의 특성
Ⅳ. 고려 후기 원주의 지배구조와 행정체계
1. 고종~충렬왕 대의 주격州格 변동
2. 충선왕대 원주목ㆍ성안부로서의 주격 州格 변동과 원주민의 대응

제5장 1291년 카단哈丹의 치악성 침입과 원충갑의 항전
Ⅰ. 머리말
Ⅱ. 외적의 침입과 치악성의 항전
1. 거란 잔적殘賊의 침입과 원주의 대응
2. 몽골의 5차 침입과 원주의 대응
3. 카단哈丹의 침입과 원주의 대응
Ⅲ. 카단적의 침입과 원주의 항전 방식
1. 산성전투의 방법
2. 카단적의 침입과 원주의 군제 편성
Ⅳ. 맺음말

제2편 북원경(북원부)의 불교문화

제6장 비마라사와 세달사
Ⅰ. 머리말
Ⅱ. 의상계 화엄사상과 비마라사
Ⅲ. 세달사(=흥교사)의 유명 승려와 경제력
Ⅳ. 맺음말

제7장 나말여초 거돈사 승려의 활동 - 지증 도헌과 원공 지종을 중심으로
Ⅰ. 문제의 제기
Ⅱ. 지증 도헌과 거돈사
Ⅲ. 원공국사 지종의 생애와 거돈사
Ⅳ. 맺음말

제8장 흥법사 선사(禪師) 충담(忠湛, 869~940)의 생애와 충담비 마멸자(磨滅字) 보완 수용 문제
Ⅰ. 문제의 제기
Ⅱ. 충담의 봉림산문 소속여부
Ⅲ. 태조 왕건이 충담 비문을 직접 작성한 이유
Ⅳ. 충담의 생애와 활동
Ⅴ. 맺음말
Ⅵ. 원문, 번역문 및 각주

제9장 고달사 학풍의 불법동류佛法東流와 부동선원不動禪院
Ⅰ. 머리말
Ⅱ. 고달원 1기 : 현욱 그리고 심희의 불법동류佛法東流
Ⅲ. 고달원 2기 : 찬유와 부동선원不動禪院
Ⅳ. 맺음말

제10장 충주 정토사 현휘玄暉와 영월 흥녕사 절중折中-고려 혜종대 정변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현휘의 활동과 음기에 실린 세력
Ⅲ. 절중의 활동과 음기에 실린 세력
Ⅳ. 맺음말

제3편 고려전기 대장경연구의 전통과 원주

제11장 선사禪師 긍양兢讓(878~956)의 생애와 대장경大藏經
Ⅰ. 서론
Ⅱ. 출가와 유학 생활
Ⅲ. 귀국과 국내 활동
1. 귀국 초기 신라 왕실과의 관계
2. 고려왕조 성립기 긍양(兢讓)과 고려 왕실과의 관계
Ⅳ. 맺음말

제12장 김부식과 박호ㆍ임존의 의천 평가
Ⅰ. 머리말
Ⅱ. 영통사비靈通寺碑 사적기事跡記의 분석
1. 묘실墓室, 제당祭堂, 경선원敬先院과 비석碑石의 조성
2. 윤관尹瓘의 찬명撰銘 여부與否와 두 비의 찬명撰銘 배경
Ⅲ. 박호ㆍ김부식ㆍ임존의 의천 평가
1. 박호朴浩의 평가
2. 김부식金富軾의 평가
3. 임존林存의 평가
4. 사대업四大業과『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
Ⅳ. 맺음말

제4편 원주문화재 환수운동과 원주 폐사지의 세계유산적 가치

제13장 20세기말~21세기초 원주지방의 문화재 환수운동과 복원ㆍ재현사업
Ⅰ. 머리말
Ⅱ. 환수운동에서 재현ㆍ복원사업까지
Ⅲ. 환수운동 및 재현ㆍ복원사업이 던진 몇 가지 고려 사항
1. 재현ㆍ복원사업에 관하여
2. 원주지방 문화재 환수운동의 재음미
Ⅳ. 맺음말

제14장 원주 폐사지의 세계 유산으로서의 가치
Ⅰ. 침략전쟁을 평화인문학으로 대처한 세계 유일의 각경刻經사업
Ⅱ. 각경 사업과 원주폐사지 해린·지종·충담의 활동
1. 법천사 해린 승탑의 보여와 승탑비의 ‘敬造金言’
2. 거돈사 원공 지종의 마하지관 강의
3. 흥법사 진공 충담의 인도불교사 연구
Ⅲ. 주체적 세계화의 산실로서의 원주 폐사지
Ⅳ. 맺음말 : 원주 세 폐사지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