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새로 쓰는 대장경의 성립과 변천 (인도 티베트 중국 한국 일본에서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 프라즈냐 총서 61

기본 정보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교토불교각종학교연합회/운주사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86
발행일 2024-05-24
ISBN 9788957467787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새로 쓰는 대장경의 성립과 변천 (인도 티베트 중국 한국 일본에서의 대장경 편찬을 중심으로) - 프라즈냐 총서 61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교토불교각종학교연합회/운주사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86
발행일 2024-05-24
ISBN 9788957467787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인도에서의 불교경전 성립부터 각 나라로의 전래, 각 지역에서의 경전 수용과 번역 과정 그리고 시대별 변용에 대해 고찰하여 「대장경」에 대한 전체적 이해는 물론, 불교학 연구에 있어 탄탄한 기초를 제공하는 책이다.

1.
붓다가 설한 경장(經藏)과 율장(律藏), 그리고 경ㆍ율에 대한 해설서인 논장(論藏)의 삼장(三藏)은 음성경(音聲經)ㆍ송경(誦經)ㆍ문자경(文字經)시대와 함께 초기ㆍ부파ㆍ대승의 시대별 불교사상으로 발전ㆍ전개되었으며, 이 삼장들은 동남아시아ㆍ중앙아시아ㆍ중국ㆍ한국ㆍ일본ㆍ티베트 등의 지역으로 불교의 전래와 함께 전승되었다. 각국으로 전승된 삼장들은 승려들을 중심으로 자국의 언어로 역경(譯經)되어 연찬, 수행, 전법 등으로 이용되었다. 그리고 역경된 삼장들은 승려들의 사상적인 연찬과 수행에 의해 다양한 사상별 문헌들로 주석ㆍ찬술되었으며, 이들 사상별 문헌들에 의해 다양한 종파들도 형성되었다.
불교학 연구는 착실한 문헌 연구를 기초로 해야 하고, 따라서 각각의 문헌이 갖는 배경이나 역사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나아가 불교가 전파된 지역의 문화나 역사는 불교 교의의 전래와 큰 관련이 있다. 한편 석존의 가르침은 실천이 수반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고, 그 실천을 통해 다양한 문화가 형성되었다. 그러나 실천의 근거가 되는 가르침의 전승은 경전이나 논서가 없으면 불가능하였다. 그리고 그 경전류의 축적이 바로 대장경(大藏經)이다. 따라서 대장경의 역사는 불교사 그것인 동시에 지역의 문화사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은 불교의 시대별ㆍ지역별의 대장경 및 사본과 관련하여 15명의 일본 불교학자들이 관련 문헌들에 대해 다양한 측면에서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연구한 결과물이다. 불교의 고향인 인도에서 동남아시아, 혹은 실크로드를 거쳐 중국에서 한반도로, 그리고 극동의 일본에 이르는 각 지역에서 불교성전이 어떻게 경ㆍ율ㆍ론의 대장경으로 형성되었는지를, 각 지역에 따라 불교가 전파된 역사적 과정을 따라가면서 흥미진진하고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2.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상ㆍ지역불교ㆍ지역역사ㆍ서지 등의 관련 전문학자 15명이 초기ㆍ부파ㆍ대승불교의 시대별로, 인도ㆍ네팔ㆍ중앙아시아ㆍ티베트ㆍ중국ㆍ한국ㆍ일본의 지역별로, 산스크리트어ㆍ빨리어ㆍ한역ㆍ티베트어의 언어별로, 그리고 기원전 6세기부터 기원후 21세기까지의 세기별로 체계적이고 다양하게 시대별 불전들의 성립과 사상적 전개, 언어별ㆍ지역별ㆍ시대별 대장경, 언어별 기발표된 사본ㆍ미발표된 사본, 각 언어별 대장경 데이터베이스 등에 대해서 관련 자료들을 발굴ㆍ분석ㆍ연구하여 기술하고 있다.
이 책의 전편은 중국ㆍ한국ㆍ일본ㆍ티베트에서 1,900여 년간 불전들의 역경과 대장경 판각 및 간행된 불전들에 대해서 후학들의 지침서 및 안내역이 될 수 있도록 교토불교각종학교연합회(京都佛敎各宗學校連合會)의 창립 50주년 기념사업 일환으로 류코쿠대학(龍谷大學)이 중심이 되어 『대장경(大藏經)-성립과 변천(成立と變遷)-』(백화원, 1964)이란 이름으로 출판된 것인데, 이는 당시 불교학계 전체에서 처음 발표된 대장경 관련 연구 전문서적이었다. 이후 연합회에서는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신편(新編) 대장경-성립과 변천-』의 출판을 기획하고, 크게 진전한 최신의 대장경 연구를 기반으로 하면서, 내용적으로는 지역과 시대를 그 특징에 따라 구분하였고, 각각의 적임 연구자를 선정하여 2020년 12월에 간행된 것이다. 이렇게 대장경에 대한 총체적 연구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이 이번에 불교문헌 연구의 전문가인 최종남 교수와 박용진 교수에 의해 우리말로 번역된 것이다. 이로써 인도에서의 불교경전 성립에서부터 각지로의 전래, 그리고 그 각 지역에서의 불교경전 수용과 변용의 전체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고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길이 마련된 것이다.

3.
이처럼 이 책은 문자화된 경ㆍ율ㆍ론 삼장과 장ㆍ소 등의 다양한 장경(藏經)류, 사본들에 대한 정보와 지식들을 담고 있으며, 관련 연구 서적으로서는 국내외에서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불교학 연구의 학술적인 지평을 더욱 확장시킴과 동시에 불교의 사상적 토대를 더 탄탄히 구축할 수 있으며, 대장경과 그 활용에 대해 더욱 풍부한 이해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 교토불교각종학교연합회


번역 : 박용진

국민대학교에서 「大覺國師 義天 硏究」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고려 교장(敎藏)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불교사상 및 전적의 교류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불교학연구회 이사, 한국서지학회 이사, 북악사학회 이사, 한국중세사학회 편집위원으로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의천, 그의 생애와 사상』, 『고려 초조대장경과 동아시아의 대장경』(공저), 『고려 재조대장경과 동아시아의 대장경』(공저), 『불교문명 교류와 해역세계』(공저), 「고려시대 동아시아 한문불교문화권의 海上 佛敎交流」, 「고려전기 義天 編定 『圓宗文類』 권1의 서지 및 교감」, 「의천 集 『釋苑詞林』의 편찬과 그 의의」, 「고려후기 백련사와 송 천태종 교류」, 「고려시대 국가의 사원 조성과 성격」 등이 있다.



목차

서문ㆍ5
한국어판 출간에 즈음하여ㆍ9


I. 인도ㆍ아시아 제 지역 19
제1장 인도불교시대의 삼장(三藏)과 빨리어 삼장ㆍ21
1. 초기문헌의 편찬작업-결집 전설ㆍ21
결집(結集)과 삼장(三藏)ㆍ21
결집 전설과 성전(聖典)의 전지 형태(傳持形態)와의 관련ㆍ25
제2차 결집 이후(第二次結集以降)ㆍ28
제4차 결집(第四次結集)ㆍ31
2. 간본(刊本)으로서 집성(集成)ㆍ32
빨리성전협회(聖典協會)(PTS.)ㆍ32
남방불교국가에서의 텍스트 편찬과 출판사업ㆍ34

제2장 대승경전ㆍ41
1. 대승불교(大乘佛敎)와 대승경전(大乘經典)ㆍ41
대승과 소승ㆍ42
대승불교의 기원ㆍ43
2. 인도의 문자와 경전서사(經典書寫)ㆍ46
불전(佛典)의 서사와 문자ㆍ46
서사용지와 형상ㆍ49
출토사본과 전세사본(傳世寫本)ㆍ49
3. 대승경전 사본의 여러 가지 상(相)ㆍ52
네팔과 티베트의 전세사본ㆍ52
중앙아시아의 출토사본ㆍ53

제3장 티베트 대장경ㆍ61
1. 티베트 불교의 역사와 제종파(諸宗派)ㆍ61
2. 깐귤(불설부佛說部)과 땐귤(논소부論疏部)ㆍ64
깐귤(불설부佛說部)ㆍ65
땐귤(論疏部)ㆍ70
3. 깐귤ㆍ땐귤의 내용구성ㆍ72
4. 돈황문헌(敦煌文獻) 중의 티베트역 경론전(經論典)ㆍ75

II. 중국(中國) 79
제1장 사본(寫本)의 시대ㆍ81
1. 불교 전래-중국으로ㆍ81
2. 한역경전의 탄생에서 일체경으로ㆍ82
3. 사본의 일체경-일체경에서 대장경(大藏經)으로ㆍ88

제2장 경전목록의 편찬과 한역대장경ㆍ96
1. 한역대장경의 성립-후한~동진ㆍ남북조시대ㆍ96
2. 한역입장록(漢譯入藏錄)의 성립-수시대(隋時代)ㆍ104
3. 한역불전목록과 대장경의 확립-당시대 전기ㆍ115
4. 경록(經錄)의 속수(續修)와 흠정화(欽定化)ㆍ124
5. 한역경전의 공개와 보존-석각경전의 발생과 전개ㆍ127

제3장 판본대장경(版本大藏經)ㆍ134
1. 개보장(開寶藏)(촉판 대장경蜀版大藏經)의 간행ㆍ134
개보장의 개판(開板)ㆍ135
개보장과 입송승(入宋僧) 쵸넨(奝然)ㆍ137
2. 금판 대장경(金版大藏經)ㆍ139
광승사본(廣勝寺本)ㆍ140
사캬 북사본(北寺本)과 홍법장(弘法藏)ㆍ141
3. 거란대장경(契丹大藏經)ㆍ143
방산석경(房山石經)ㆍ146
4. 복주판(福州版)(동선사장東禪寺藏ㆍ개원사장開元寺藏)의 간행ㆍ147
복주(福州) 동선등각원(東禪等覺院)의 대장경 개판ㆍ148
복주(福州) 개원선사(開元禪寺)의 대장경 개판(開板)ㆍ152
5. 절서판(浙西版)(사계장思溪藏ㆍ적사장磧砂藏ㆍ보령사장普寧寺藏)의 간행ㆍ156
2개의 사계장(思溪藏) 목록(目錄)ㆍ157
사계원각선원(思溪圓覺禪院)의 대장경 개판ㆍ158
법보자복사(法寶資福寺)로 승격과 보각(補刻)ㆍ추조사업(追雕事業)ㆍ159
적사 연성선원(磧砂延聖禪院)의 대장경 개판ㆍ161
백운종(白雲宗) 교단의 대장경 개판ㆍ164
연성사(延聖寺)의 부흥과 적사장의 추조(追雕)ㆍ167
6. 원(元)의 관판 대장경(官版大藏經)ㆍ170
원(元)의 관판 대장경(官版大藏經)의 특징ㆍ171
송원시대(宋元時代)의 간본대장경(刊本大藏經)의 계통ㆍ172
7. 대명남장(大明南藏)과 대명북장(大明北藏)의 간행ㆍ173
홍무남장(洪武南藏)의 개판(開板)ㆍ174
홍무남장(洪武南藏)에서 영락남장(永樂南藏)으로ㆍ176
북장(北藏)의 편찬(編纂)과 반포(頒布)ㆍ179
명말(明末)의 남장(南藏)과 청경조례(請經條例)ㆍ181
8. 명말(明末)의 가흥장(嘉興藏)과 청(淸)의 용장(龍藏)의 간행ㆍ183
가흥장(嘉興藏)의 간행ㆍ184
청초(淸初)에 있어서 용장(龍藏)의 간행ㆍ190
9. 청말(淸末)ㆍ민국 초기(民國初期) 간행의 대장경ㆍ193


III. 조선(朝鮮) 197
제1장 고려판 대장경(高麗版大藏經)ㆍ199
1. 고려초조대장경(高麗初雕大藏經)ㆍ199
사본(寫本)대장경ㆍ199
초조본(初雕本)의 조조(雕造)ㆍ200
초조본(初雕本)의 판식(版式)과 전본(傳本)ㆍ201
속장(續藏)(의천교장義天敎藏)ㆍ201
2. 고려재조대장경(高麗再雕大藏經)ㆍ203
재조본(再雕本)의 조조(雕造)ㆍ203
재조본(再雕本)의 형식ㆍ204
재조본의 편집(編集)과 해인사(海印寺)로 판목(板木)의 이동ㆍ205
재조본의 구성과 보유판(補遺版)ㆍ207
재조본(再雕本)의 영인본ㆍ209
간경도감(刊經都監)ㆍ211


IV. 일본(日本) 213
제1장 일본 고대의 일체경ㆍ215
1. 불전의 장래(將來)와 서사(書寫)ㆍ215
2. 나라시대(奈良時代)의 일체경ㆍ219
오월일일경(五月一日經)과 경운일체경(景雲一切經)ㆍ223
나라시대의 사경기구(機構)ㆍ227
국가적 사경으로서의 일체경ㆍ229
지식(知識)에 의한 일체경 서사(書寫)ㆍ233
3. 헤이안시대(平安時代)의 일체경ㆍ234
입당팔가(入唐八家)와 불전(佛典)의 장래(將來)ㆍ234
『정원신정석교목록(貞元新定釋敎目錄)』의 장래(將來)ㆍ236
헤이안시대 전기(前期)의 일체경 서사ㆍ237
송판 일체경(宋版一切經)의 청래(請來)ㆍ239
헤이안시대 후기의 일체경 서사ㆍ241
말법(末法)과 일체경회(一切經會)ㆍ247
말법(末法)과 매경(埋經)ㆍ249
헤이안시대 후기의 판경(版經)ㆍ251

제2장 일본 중세의 일체경ㆍ254
1. 가마쿠라기(鎌倉期)의 일체경ㆍ254
가마쿠라 막부와 대장경ㆍ254
기타의 청래대장경(請來大藏經)ㆍ258
색정법사 서사경(色定法師書寫經)ㆍ259
2. 남북조(南北朝)ㆍ무로마치기(室町期)의 일체경ㆍ261
아시카가다카우지 발원경(足利尊氏發願經)ㆍ261
기타노샤 서사일체경(北野社書寫一切經)ㆍ264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의 대장경 청래(請來)ㆍ269

제3장 일본 근세의 일체경ㆍ274
1. 근세의 대장경ㆍ274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간행사업ㆍ275
2. 슈존판 일체경(宗存版一切經)ㆍ276
슈존(宗存)의 약전(略傳)과 죠묘지(常明寺)ㆍ277
슈존판 경전의 간기(刊記)ㆍ280
슈존판 경전의 체재ㆍ281
고활자(古活字) 슈존판의 특색ㆍ282
슈존판의 인쇄 장소ㆍ283
세계 최초의 활자인쇄경ㆍ285
3. 덴카이판 일체경(天海版一切經)ㆍ286
덴카이판의 개요(槪要)ㆍ288
덴카이판 목활자ㆍ290
4. 데츠겐판 대장경(鐵眼版大藏經)ㆍ293
데츠겐판(鐵眼版)의 개요ㆍ293
데츠겐판의 간기(刊記)ㆍ294
데츠겐판의 체재와 특징ㆍ297
호넨인판(法然院版)의 대교록(對校錄)과 출판ㆍ299

제4장 일본 근대의 대장경 출판ㆍ304
1. 금속활자판 대장경(金屬活字版大藏經)ㆍ304
대일본교정대장경(大日本校訂大藏經)ㆍ304
일본교정대장경(日本校訂大藏經)ㆍ대일본속장경(大日本續藏經)ㆍ309
하쿠분칸 축쇄대장경(博文館縮刷大藏經)ㆍ311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ㆍ311
장외(藏外)의 각종(各種) 총서(叢書)ㆍ315
대장경 연구(大藏經硏究)ㆍ317
근대에 있어서 일본 이외의 한역대장경 출판ㆍ319
2. 일본찬술ㆍ종문계전서(宗門系全書)ㆍ320
『대일본불교전서』ㆍ321
『정토종전서(淨土宗全書)』ㆍ323
『진종전서(眞宗全書)』ㆍ324
『진종대계(眞宗大系)』ㆍ325
『진종총서(眞宗叢書)』ㆍ325
『신편진종전서(新編眞宗全書)』ㆍ326
『천태종전서(天台宗全書)』ㆍ326
『속천태종전서(續天台宗全書)』ㆍ327
『진언종전서(眞言宗全書)』ㆍ327
『속진언종전서(續眞言宗全書)』ㆍ327
『선학대계(禪學大系)』ㆍ328
『국역선종총서(國譯禪宗叢書)』ㆍ328
『선학전적총간(禪學典籍叢刊)』ㆍ329
『조동종전서(曹洞宗全書)』ㆍ329
3. 데이터베이스ㆍ330
한문대장경 데이터베이스ㆍ331
빨리대장경 데이터베이스ㆍ336
티베트어 대장경 데이터베이스ㆍ338
산스크리트 불전ㆍ340
영역대장경 프로젝트ㆍ342
각 종파가 제공하는 불전 데이터베이스ㆍ342
기타ㆍ346

후기ㆍ349
역자 후기ㆍ353
찾아보기ㆍ359
집필 담당자 일람ㆍ383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