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 (AKS 번역총서 3)

품절

기본 정보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로버트버스웰/한국학중앙연구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95
발행일 2015-12-30
ISBN 9791158660734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 (AKS 번역총서 3)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로버트버스웰/한국학중앙연구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95
발행일 2015-12-30
ISBN 9791158660734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중국과 한국의 선사상 형성』은 기존의 한국 불교를 중국 불교의 아류로 간주해온 서구학계에서 한국 불교학을 독립적인 학문 분야로 정립시키는데 지대한 공헌을 한 책이다. 특히 당대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불교계 전반에 한국 불교가 미친 영향을 『금강삼매경』을 통해 치밀하게 살펴보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로버스 버스웰(Robert E. Buswell Jr.)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Berkeley)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특훈교수(distinguished professor), 어빙 앤드 진 스톤 인문학 석좌교수, 불교학연구소 창립 소장으로 재직 중이다. UCLA 한국학연구소 창립 소장, 아시아학회(AAS) 회장, 동국대학교 초대 불교학술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만해 대상(학술부문)을 수상하였다. The Korean Approach to Zen: The Collected Works of Chinul(Honolulu, 1983), The Formation of Ch’an Ideology in China and Korea(Princeton, 1989), Tracing Back the Radiance: Chinul’s Korean Way of Zen(Honolulu, 1991), The Zen Monastic Experience: Buddhist Practice in Contemporary Korea(Princeton, 1992), Cultivating Original Enlightenment: W?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dhi-S?tra(Honolulu, 2007) 등의 저서와 Religions of Korea in Practice(Princeton, 2007), Currents and Counter currents: Korean Influences on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s(Honolulu, 2005) 등의 편저가 있다. 대표적 불교사전인 Encyclopedia of Buddhism(Macmillan Reference, 2004),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3) 등을 편찬하였다.



역자 김종명(金鍾明)은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에서 불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불교의례와 문화, 불교와 국가, 선사상 중심의 한국 불교학과 해외 한국학을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글로벌한국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창립 해외한국학소장을 역임하고, 불이상(학술부분)을 수상하였다. 『국왕의 불교관과 치국책』(한국학술정보, 2013), 『한국의 세계불교유산: 사상과 의의』(집문당, 2008),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 사상적 배경과 역사적 의미』(문학과지성사, 2001) 등의 저서가 있다. Zen Buddhist Rhetoric in China, Korea, and Japan(Brill, 2012), Makers of Modern Korean Buddhism(SUNY Press, 2010), Traditions and Traditional Theories(LIT Verlag, 2006), Korea and Globalization(Routledge Curzon, 2002) 등의 학술서에 논문을 게재하였고, Korea Journal을 비롯한 다수의 학술지 게재 논문이 있다.



역자 조은수(趙恩秀)는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UC Berkeley)에서 불교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시간대학교 아시아언어문화학과 조교수를 거쳐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국제한국학센터 초대소장을 역임하였고,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지역 세계기록문화유산 출판소위원회 의장,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직지심경』을 영어로 공역하였으며, 편저로 Korean Buddhist Nuns and Laywomen: Hidden Histories, Enduring Vitality(SUNY Press, 2011)가 있다. ?원효에 있어서 진리의 존재론적 지위?(『철학』 별책, 2006), “Repentance as a Bodhisattva Practice-W?nhyo on Guilt and Moral Responsibility”(Philosophy East & West, 2013) 외에 인도 아비달마불교, 한국불교철학에 관한 논문이 있다.


목차

저자 서문 

한글 번역본에 대한 저자 서문 

역자 서문 

제1장 『금강삼매경』 위경 연구 

1. 『금강삼매경』의 연구: 문제점과 전망 

2. 『금강삼매경』의 통합적 경향 

3. 『금강삼매경』의 서술구조에 대한 범형 

4. 중국의 경전목록 속에 나타난 『금강삼매경』 


제2장 원효전: 『금강삼매경』의 연대결정과 기원 

1. 『송고승전』과 『금강삼매경』의 기원 

2. 『삼국유사』의 고승전과 『금강삼매경』의 찬술연대 결정 

3. 원효의 중국행 시도와 깨달음의 경험 

4. 주석가와 포교가로서의 원효 


제3장 『금강삼매경』의 교학적 이론 

1. 동아시아에서의 불교변용 

2. 여래장과 깨달음의 내재성 

3. 아말라식과 마음의 본래 청정함 

4. ‘금강삼매’의 의미: 본유적 깨달음이 갖는 실천적 함축 

5. 신라의 불교도에게 주는 『금강삼매경』의 메시지 


제4장 『금강삼매경』의 선요소: 이 경의 저자확인을 위한 증거 

1. 『금강삼매경』에 미친 선의 영향 

2. 초기 선과 법랑의 전설 

3. 저자문제 

4. 『금강삼매경』의 유산 

5. 선불교계에서의 『금강삼매경』의 위치 

참고문헌 

찾아보기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