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반야심경 - 불교의 가르침을 가장 압축적으로 담고 있는 260자 경전

품절

기본 정보
정가 28,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지뿌/김진무/일빛
적립금 1,2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32
발행일 2015-04-27
ISBN 9788956451749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반야심경 - 불교의 가르침을 가장 압축적으로 담고 있는 260자 경전
정가 28,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지뿌/김진무/일빛
적립금 1,2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32
발행일 2015-04-27
ISBN 9788956451749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반야심경』은 절에서 진행되고 있는 모든 예불과 의식뿐만 아니라 각종 행사에서도 빠지지 않고 독송되고 있는데, 꼭 불교 신자가 아니더라도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이란 글귀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듯이 우리에게 가장 친근한 경전이라고 할 수 있다. 『반야심경』의 정식 명칭은 『반야바라밀다심경』이며, 현재 조계종에서는 ‘한글 반야심경’을 제정하여 그 뜻을 풀어 전파하고 있다.


저자소개

현장법사

원역자 현장법사(玄?法師)는 당나라 태종·고종 때의 승려(602? ~ 664년)로 『서유기』의 중심인물인 삼장법사의 원형이며, 많은 경전의 번역가로 유명하다. 속성은 진陣씨이고 속명은 위褘이다.
낙양洛陽에서 가까운 하남성 진류陣留에서 태어나 12세 때 낙양 정토사淨土寺에서 출가하였고, 29세에 혼자 길을 나서 인도에 들어가 불교와 아울러 학문 예술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나란타사那爛?寺의 계현(戒賢)에게서 『유가瑜伽』, 『순정順正』, 『인명因明』, 『구사俱舍』 등을 5년 동안 학습하였다. 645년 마침내 주유周遊 17년, 견문한 나라 130국의 유력遊歷을 마치고 장안으로 돌아왔다. 이때 가지고 온 불사리 150립과 불상 8체, 대승경大乘經과 대승론大乘論을 비롯한 520질 657부의 불경은 모두 홍복사弘福寺에 안치하였다.
여행 견문기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를 지었고, 번역한 책으로는 『대반야경大般若經』,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구사론俱舍論』 등 75부 1,335권이 있으며, 63세 때인 664년 대자은사大慈恩寺에서 입적했다.


목차

「법계원류도」와 관음존상권 해설
편자의 서 : 마음의 병을 치유하는 좋은 약
『반야심경』의 구성에 대한 분석도

제1장 『반야심경』의 유래와 요지
1 『반야심경』의 기원
2 『반야심경』과 『대반야경』 두 경전 사이의 관계
3 『반야심경』의 첫 번째 한역본의 역자 : 구마라집
4 가장 광범위하게 유통된 한역본 : 현장법사와 『반야심경』의 인연
5 『반야심경』의 7개의 한역본 : 두 개의 약본과 다섯 개의 광본
6 두 종류의 『반야심경』: ‘광본’과 ‘약본’의 구별
7 『반야심경』의 반야사상의 핵심적 요지 : 공(空)
8 『반야심경』의 정신 : 집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타파
9 『반야심경』에 담긴 불법의 도리 : 인연소생법
10 『반야심경』의 인생관 : 인생은 고(苦)

제2장 『반야심경』과 관계된 일련의 문제
1 『반야심경』의 인물의 탐구 : 『반야심경』에서의 부처님의 역할
2 『반야심경』의 설법성회 : 법회에 참여한 인물들
3 『반야심경』의 설법 장소 : 부처님과 관자재보살의 설법 장소
4 왕사성 : 불교사에 있어서 차지하는 비중
5 『반야심경』의 청중 : 세 종류의 대상
6 『반야심경』의 성질 : ‘경전’과 ‘주문’
7 밀교의 반야불모와 반야심경여신 : 동일인인가?
8 깊은 선정의 관수 상태 : 관자재보살의 설법
9 『반야심경』에 대한 대중의 사랑 : 자구의 단순성, 심오한 의미
10 『반야심경』의 응용 : 자신의 마음에 대한 탐색
11 『반야심경』의 문자 : 『대반야경』의 정수
12 『반야심경』의 유통분 : 일반 경전과의 차이
13 아제아제, 바라아제 : 『반야심경』의 주문의 출처
14 『대반야경』의 설법 장소 : 사처(四處)

제3장 『반야심경』의 이해를 위한 전제 조건
1 불교의 전문적 용어의 이해 : 『반야심경』의 세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
2 불교 용어의 원어인 범어에 대한 이해 : 『반야심경』의 경문의 진의에 대한 파악
3 약본과 광본을 함께 읽기 : 『반야심경』에 대한 전면적이고 정확한 인식
4 『반야심경』의 수행 단계에 대한 이해 : 문자반야, 관조반야, 실상반야
5 반야바라밀다심경 : 이 여덟 개 문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
6 반야와 지혜 : 현장법사의 경명 번역의 의미
7 『반야심경』에 대한 기본적 이해 : 문자적인 의미에 있어서의 『반야심경』의 개요
8 밀교 『반야심경』의 수지법 : 일일념(日日念), 경상념(經常念)
9 밀교 『반야심경』의 수주법 : 늘 몸에 가까이 하면 일체의 악에 물들지 않는다
10 밀교 『반야심경』의 염송법 : 진언을 바르게 염송하는 규정
11 밀교의 『반야심경』의 공양법 : 신단을 설치하는 표준적 양식
12 밀교의 『반야심경』의 필사 : 자아를 계발하는 묘법

제4장 『반야심경』의 경문 해설
1 경전의 명칭 : 반야바라밀다심경
2 반야지혜로 이미 도달한 자재의 경지 : 관자재보살
3 반야바라밀다의 수행 : 행심반야바라밀다시
4 오온의 관조와 공무실체 : 조견오온개공
5 이타, 구세, 중생의 이익 : 도일체고액
6 지혜제일의 불제자 : 사리자
7 색과 공의 상호 의존성 : 색불이공, 공불이색
8 물질 현상과 공 : 색즉시공, 공즉시색
9 심리적 측면에서의 사온 : 수상행식역부여시
10 일체법의 공성 : 사리자시제법공상
11 불교의 우주관 :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12 ‘공’과 오온 : 시고공중무색무수상행식
13 육근의 공성, 육진으로 부터의 자유 :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14 세간의 일체 현상과 공성 : 무안계내지무의식계
15 십이인연의 공성 : 무무명역무무명진, 내지무노사역무노사진
16 사제의 초월 : 무고집멸도
17 개념이나 명상(名相)에 대한 집착의 타파 : 무지역무득
18 반야의 깊은 지혜에 의지하여 얻는 공성에 대한 깨달음 : 이무소득고보리살타의
반야바라밀다고심무괘애
19 생사를 두려워하지 않으니 자연히 어떠한 두려움도 없다 : 무괘애고무유공포
20 불합리한 사상과 행위의 극복 : 원리전도몽상
21 일체 번뇌의 멈춤 : 구경열반
22 삼세에 출현하는 일체의 부처 : 삼세제불
23 반야바라밀다의 인도 : 의반야바라밀다고
24 완전한 정각보리 : 득아뇩다라삼막삼보리
25 반야의 위대한 역량에 대한 찬탄 : 고지반야바라밀다시대신주
26 위대한 신주 반야바라밀다 :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27 이고득락, 열반의 증득 :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28 주문과 경문의 분수령 :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29 가자! 도달하자! : 아제아제
30 공성에 대한 직접적인 깨달음 : 바라아제
31 함께 피안으로 가자! : 바라승아제
32 원만한 지혜의 성취 : 모지사바하

제5장 불교의 기본적 용어와 개념의 해설
1 법(法) : 일체사물, 우주만유
2 불(佛) : 자각, 각타, 각행원만
3 삼보(三寶) : 불, 법, 승
4 열반(涅槃) : 불생불멸, 영원한 안락의 경지
5 연기(緣起) : 일체법과 인연화합
6 십이연기(十二緣起) : 인생의 고통의 근원에 대한 탐구
7 심성(心性) : 심식(心識)의 불변성
8 무아(無我) : 자아의 비실재성
9 무상(無常) : 존재의 비항상성
10 인과(因果)의 상속 : 인과의 연속성
11 유루개고(有漏皆苦) : 고(苦)의 연기에 대한 불교의 해석
12 삼계유심(三界唯心) : 일체의 현상과 마음
13 발보리심(發菩提心) : 상구불도, 하도중생의 서원
14 대승(大乘) : 대중의 이익을 중시하는 행위
15 오승(五乘)의 교법 : 불교 수행에 있어서 다섯 종류의 교의 체계
16 보살(菩薩) : 자신과 중생의 동반 해탈
17 사섭(四攝) : 중생을 불도로 인도하기 위한 네 가지 조건
18 팔종(八宗) : 중국 불교의 팔대종파

부록
찾아보기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