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 능엄경

품절

기본 정보
정가 35,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이수덕/시사뉴스매거진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23
발행일 2015-01-05
ISBN 9788991826281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 능엄경
정가 35,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이수덕/시사뉴스매거진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23
발행일 2015-01-05
ISBN 9788991826281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대승경전 가운데 어느 것 하나 소홀히 볼 수 있는 것은 없지만 그 가운데도 《능엄경》은 수행하는 스님뿐 아니라 제가자들에게도 꼭 읽어야 할 경전이다. 이 책은 한글세대들이 읽기에 쉽지 않은 점을 고려하여 가능하면 쉬운 용어를 사용하고 또 대화체로 편집하여 이해하는 데 쉽도록 하였다.


저자소개

이수덕

저자 이수덕(李銖悳)은 1948년 경남 합천에서 한 때 출가수행도 한 한학자인 牧翁 李?兌와 신창表씨인 文禮 사이에 9남매 중 7번째로 태어났다.
4세까지 천자문을 따라 읽고 중학교 때 명심보감과 소학을 어께너머로 보았고 대학시절에 大學, 中庸, 論語, 孟子 일부를 중학교 은사이신 故 장성균 교장으로부터 사사한 후 老子, 周易, 正易 등에 심취하였다.
군 복무시절 청담스님의 『마음』『반야심경』『금강경』강론서를 읽으며 부처님 가르침에 눈이 뜨고 佛敎TV 근무를 계기로 동국대학교에 입학하여 불교 공부를 하였다.

영전초등학교, 합천중학교, 검정고시 등을 거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스페인어를 전공하였고 스페인 국립 마드리드대학에서 1년간 스페인 및 중남미 문화를 배웠고 동국대학교에서 선학으로 석사, 불교교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불교텔레비전(주) 대표이사 사장 역임(4년), (주)돌담 대표이사 역임(10년), (사)한국화랑청소년육성회 총재/회장 역임(4년), (사)생명나눔실천본부 후원회장을 역임(6년)하였다.

지금 (주)동진메카트로닉, 동진에너지시스템, ㈜용궁일라이트, (주)용궁온천 등의 회사를 경영하고 있고, (재)대한불교진흥원과 (재)불교방송 이사, 참여불교재가연대 상임대표, 불교아카데미 이사장, (월간)시사뉴스매거진 회장, 한울림선원 창건주/원장 등의 일을 맡고 있다.

편역서로 《한글금강경》, 《불설대승금강경론》이 있고, 논문으로 《당말 송초 중국천태사상의 전개》, 《與華嚴經一同到來的弘一大師》, 《眞覺慧諶의 看話一門 硏究》, 《불교수행과정에 나타난 魔障과 對治 硏究》 등이 있다.

목차

머리글 / Ⅰ
능엄경 서문 / Ⅲ
추천사 / Ⅸ
자서 / ⅩⅠ
목차 / ⅩⅩⅩⅠ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 수능엄경 제1권 / 1
제1장 서분-문제의 제기 / 1
제2장 정종분正宗分 / 7
제1절 견도분見道分 - 본심론本心論 / 7
Ⅰ. 명심견성明心見性 / 7
1. 7처징심七處徵心 / 10
1) 마음은 몸 안에 있는 것이 아니다. / 12
2) 마음은 몸 밖에 있는 것이 아니다. / 14
3) 마음은 근根 안에 숨어 있는 것이 아니다. / 16
4) 마음은 명암明暗에 따라 개합하는 것이 아니다. / 18
5) 마음은 합치는 곳에 따라 있는 것이 아니다. / 19
6) 마음은 중간에 있는 것이 아니다. / 22
7) 마음은 머무르지 않는 것이 아니다. / 24
2. 진심眞心과 망심妄心의 체성體性 / 25
3. 견성이란 무엇인가? / 35
1) 견성이 마음이다. / 35
2) 견성見性은 움직이지 않는다. / 38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 수능엄경 제2권 / 45
4. 우주만유 자성본체의 인식 / 45
1) 견성見性은 사라지지 않는다. / 45
2) 견성見性은 유실遺失하지 않는다. / 51
5. 자성과 물리현상계의 분석 / 54
1) 견성見性은 돌려보낼 수 없다. / 54
6. 객관적 물리세계와 주관적 자성은 둘이 아니다. / 59
1) 견성見性은 혼란스럽지 않는다. / 59
2) 견성見性은 걸림이 없다. / 62
3) 견성見性은 나눌 수 없다. / 64
7. 자성은 자연과 인연화합을 초월한다. / 71
1) 견성見性은 정량情量을 초월하였다. / 71
2) 견성見性은 견을 여의었다. / 75
8. 개별인식과 공동인식의 원인 / 78
1) 별업망견別業妄見 / 79
2) 동분망견同分妄見 / 81

Ⅱ. 심리와 생리현상과 자성공능 / 88
1. 심리와 생리의 오음작용 / 88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 수능엄경 제3권 / 95
2. 심리와 생리의 6근 작용 / 95
3. 심신과 외계[12처] 작용 / 104
4. 심신과 외계[18계] 작용 / 110

Ⅲ. 물리세계와 정신세계는 자성공능이 드러남이다. / 120
1. 지수화풍공 5대종성五大種性 / 120

Ⅳ. 심의식心意識 정신영역의 투시 / 132
1. 견대見大는 바로 여래장이다. / 132
2. 식대識大는 바로 여래장이다. / 135
Ⅴ. 아난이 부처님을 찬탄하다. / 139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4권 / 143
Ⅵ. 우주탄생과 생명의 기원 / 143
1. 물리세간의 물질 형성 / 143
2. 중생세계 생명의 기원 / 151

Ⅶ. 불법수습佛法修習의 실험 / 155
1. 개인의 해탈과 군체群體 / 155
2. 5대五大는 완벽하게 융화한다. / 157
3. 삼장일심三藏一心 / 160

Ⅷ. 자성진심 증오證悟의 원리 / 165
1. 무명의 원인 / 165
2. 진망眞妄이 함께 사라진다. / 166

제2절 수능엄대정의 수지원리修持原理-수도분修道分 / 174
Ⅰ. 우주시공과 물리세간의 해탈 원리 / 174

Ⅱ. 자성의 수증원리修?原理 / 190
1. 허망함을 버리고 진리를 취하다. / 190
2. 생멸심으로 불과佛果를 얻을 수 없다. / 193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5권 / 201
Ⅲ. 자성해탈의 수증 / 201
1. 맺히고 풀림은 감각기관[根]에서 생긴다. / 201
Ⅳ. 25원통문 / 216
1. 육진원통六塵圓通 / 216
1) 교진나 등 다섯 비구 / 217
2) 우바니사타 / 218
3) 향엄 동자香嚴童子 / 219
4) 약왕, 약상 / 220
5) 발타바라 / 221
6) 마하가섭 / 222
2. 육근원통六根圓通 / 223
1) 아나율타 / 223
2) 주리반특가 / 224
3) 교범발제?梵鉢提 / 225
4) 필릉가바차 / 226
5) 수보리 / 227
3. 육식원통六識圓通 / 228
1) 사리불 / 228
2) 보현 보살 / 229
3) 손타라난타 / 230
4) 부루나미다라니자 / 231
5) 우바리 / 232
6) 대목건련 / 233
4. 7대원통七大圓通 / 234
1) 오추슬마 / 234
2) 지지 보살 / 235
3) 월광 동자 / 237
4) 유리광 법왕자 / 239
5) 허공장 보살 / 241
6) 미륵 보살 / 242
7) 대세지 법왕자 / 244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6권 / 247
5. 관세음 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 / 247
1) 두 가지 뛰어난 능력 / 249
2) 32 순응력 / 250
3) 14 무외공덕 / 256
4) 4 부사의무작묘덕四不思議無作妙德 / 260
6. 문수 보살이 선택한 이근원통 / 264

Ⅴ. 학불수행學佛修行의 기본-지계持戒와 지주持呪- / 285
1. 삼무루학三無漏學 / 285
2. 네 가지 청정한 가르침-자력수행- / 287
1) 이음離? : 간음하지 않는다. / 287
2) 이살離殺 : 생명을 죽이지 않는다. / 289
3) 이도離盜 : 훔치지 않는다. / 292
4) 이망어離妄語 : 헛소리하지 않는다. / 294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7권 / 299
3. 능엄도량 설립하는 법 / 299
4. 다라니 외우는 수행-타력수행- / 305
1) 다라니 외우는 법 / 305
2) 다라니의 공덕 / 322
3) 신장들이 보호함 / 331
제3절 성위聖位에 오르는 순서-증도분證道分 / 335
Ⅰ. 두 가지 전도顚倒 / 336
Ⅱ. 12류 중생이 생기다 / 340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8권 / 345
Ⅲ. 수행하는 계위階位 / 345
1. 수행의 세 가지 차례 / 345
2. 간혜지乾慧地 / 351
3. 10신十信 / 351
4. 10주十住 / 354
5. 10행十行 / 356
6. 10회향十回向 / 358
7. 4가행四加行 / 360
8. 십지十地 / 361

Ⅳ. 경의 이름 / 364

제3장 7취인과와 오음마상-조도분助道分 / 367
제1절 7취七趣를 말하다 / 367
Ⅰ. 열 가지 지옥과 여섯 과보 / 374
Ⅱ. 아귀 / 389
Ⅲ. 축생 / 392
Ⅳ. 인취 / 395
Ⅴ. 선취仙趣 / 398
Ⅵ. 천취天趣 / 401
1. 욕계6천欲界六天 / 401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 /수능엄경 제9권 / 403
2. 색계18천色界十八天 / 403
1) 초선3천初禪三天 / 403
2) 2선3천二禪三天 / 404
3) 3선3천三禪三天 / 405
4) 4선9천四禪九天 / 407
5) 무색계4천 / 411

Ⅶ. 아수라 / 413
Ⅷ. 결론 / 415

제2절 50마를 말하다 / 418
Ⅰ. 색음마경色陰魔境 / 423
1. 신능출애身能出? / 425
2. 습출요회拾出蟯蛔 / 425
3. 내외통문內外通聞 / 426
4. 견불의정見佛依正 / 427
5. 공성보색空成寶色 / 428
6. 암실견문暗室見物 / 429
7. 소작무손燒斫無損 / 430
8. 편견성범遍見聖凡 / 431
9. 야견원방夜見遠方 / 432
10. 타변자설他變自說 / 432

Ⅱ. 수음마경受陰魔境 / 434
1. 견물생비見物生悲 / 435
2. 용제제불勇齊諸佛 / 436
3. 고갈침억枯渴?憶 / 437
4. 자의사나自疑舍那 / 438
5. 생무진우生無盡憂 / 439
6. 생무한희生無限喜 / 440
7. 기대아만起大我慢 / 441
8. 경안자족輕安自足 / 442
9. 발무인과撥無因果 / 443
10. 애극발광愛極發狂 / 444

Ⅲ. 상음마경想陰魔境 / 446
1. 탐구선교貪求善巧 / 448
2. 탐구경력貪求經歷 / 449
3. 탐구계합貪求契合 / 451
4. 탐구원본貪求元本 / 453
5. 탐구명감貪求冥感 / 455
6. 탐구심입貪求深入 / 457
7. 탐구지견貪求知見 / 458
8. 탐구신력貪求神力 / 460
9. 탐구심공貪求深空 / 462
10. 탐구장수貪求長壽 / 464

세계와 중생이 생긴 내력을 말하다/수능엄경 제10권 / 469
Ⅳ. 행음마경行陰魔境 / 469
1. 2무인론二無因論 / 471
2. 4변상론四遍常論 / 474
3. 일분무상일분상론一分無常一分常論 / 476
4. 사유변론四有邊論 / 478
5. 사불사교란론四不死矯亂論 / 481
6. 16유상론十六有相論 / 483
7. 8무상론八無相論 / 485
8. 8구비론八俱非論 / 486
9. 7단멸론七斷滅論 / 488
10. 5현열반론五現涅槃論 / 489

Ⅴ. 식음마경識陰魔境 / 492
1. 인소인집因所因執 / 495
2. 능비능집能非能執 / 497
3. 상비상집常非常執 / 498
4. 지무지집知無知執 / 499
5. 생무생집生無生執 / 501
6. 귀무귀집歸無歸執 / 502
7. 탐비탐집貪非貪執 / 503
8. 진무진집眞無眞執 / 504
9. 정성성문定性聲聞 / 506
10. 정성연각定性緣覺 / 507

Ⅵ. 오음의 근본 / 512

제4장 유통분流通分 / 521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