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저항과 투항 - 군사정권들과 종교

기본 정보
정가 31,000원
판매가 29,450원
저자/출판사 강인철/한신대학교출판부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47
발행일 2013-04-02
ISBN 9788978061629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저항과 투항 - 군사정권들과 종교
정가 31,000원
판매가 29,450원
저자/출판사 강인철/한신대학교출판부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47
발행일 2013-04-02
ISBN 9788978061629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군사정권들과 종교 『저항과 투항』. 1961년 5월의 군사쿠데타로부터 1987년 6월의 민주항쟁까지 약 26년 동안 전개된 종교-국가 사이의 전략적 상호작용, 그리고 같은 시기 종교-정치-국가 관계 양식·패턴의 특징과 변화를 탐구대상으로 삼는다.


저자소개

강인철

1994년에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1997년 봄부터 한신대학교 종교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사비평> 편집위원, 학술단체협의회 학술위원장, 우리신학연구소 연구위원장,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방문학자, 한신대학교의 입학관리실장과 교수평의회 부의장 등을 거쳐 왔다. ‘종교에 대한 역사사회학’과 ‘사회.문화에 대한 종교사회학’을 지향하면서, 주로 한국의 종교정치, 종교사회운동, 종교권력, 개신교 보수주의, 북한 종교, 지구화와 종교, 종교와 전쟁, 양심적 병역거부 등에 대한 탐구를 시도해왔다. 해방 후 한국의 종교정치를 집대성한 다섯 권의 집필을 최근 마무리했고, 현재는 ‘한국의 시민종교’ 내지 ‘대한민국의 종교학’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서로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2008년), <한국 천주교회의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성찰>(2007년), <한국의 개신교와 반공주의>(2007년), <한국 천주교의 역사사회학: 1930∼1940년대의 한국 천주교회>(2006년), <전쟁과 종교>(2003년), <한국 기독교회와 국가.시민사회: 1945∼1960>(1996년)가 있다.


목차

책머리에

≪제1부≫ 통제와 저항

1장. 군사정권들의 종교정책과 헤게모니전략
1. 권력의 종교적 선호 변화?: 현충일 의례의 경우
2. 박정희와 종교
3. 군사정권의 종교정책과 헤게모니전략
4. 종교행정기구의 등장, 확대, 이원화
5. 소결

2장. 전략적 상호작용과 종교정치 패턴: 새로운 종교정책 기조와 회색지대의 형성
1. 1960년대: 군사쿠데타와 종교들
2. 1970년대: 새로운 종교정책 기조
3. 1980년대: 신군부의 일탈과 회귀
4. 종교-국가 관계의 복합성, 대립-협력의 회색지대

3장. 강화된 종교통제와 종교-국가 갈등: 종교정치의 주요 쟁점들
1. 법률적 통제(1): 사회단체등록법과 종교법인법
2. 법률적 통제(2)
3. 세금을 통한 통제 시도
4. 종교교육에 대한 제한
5. 사회정화운동과 무인가 신학교 정비, 10ㆍ27법난
6. 언론통폐합과 기독교방송(CBS), 매일신문
7. 계룡산에서 신종교 몰아내기
8. 새마을운동과 무속ㆍ마을신앙 파괴
9. 소결

4장. 대립으로의 전환: 구조적 기반, 촉진 및 지속 요인들
1. 민주화운동과 종교: 쟁점들
2. 왜 일부 그리스도교만?
3. 왜 그때에?
4. 어떻게 살아남았나?
5. 사회운동 발전의 한국형 모델

5장. 성역의 탄생과 성역정치
1. ‘종교정치적 성역’의 형성
2. 종교 공간 침해의 유형과 특징
3. 규제 격차와 침묵하는 종교들
4. 그리스도교의 성역정치와 성역의 취약성
5. 소결

6장. 광주항쟁과 종교인들
1. 항쟁 직전 광주 지역 운동권과 교계 인사들
2. 시민수습대책위원회 및 항쟁 지도부와 그리스도교인들
3. 광주항쟁과 개신교
4. 광주항쟁과 천주교
5. 침묵 혹은 동조
6. 소결

≪제2부≫ 군사정권과 3대 종교

7장. 개신교와 박정희 정권
1. 박정희 정권 시기 개신교-국가 관계의 쟁점들
2. 대립과 협력의 양극단: 통계적 분석
3. 정치적 지향의 분화
4. 저항적 소수의 주도성
5. 두터운 회색지대: 교회-국가 관계의 복합성
6. 소결

8장. 군사정권과 불교(1): 헤게모니적 포섭과 특권 종교로의 도약
1. 헤게모니전략과 불교
2. 포섭적 성격이 강한 배제적 헤게모니전략과 분할지배: 1962∼1968년
3. 배제적/포섭적 헤게모니전략의 혼합(1): 1969∼1974년
4. 배제적/포섭적 헤게모니전략의 혼합(2): 1975∼1987년
5. 소결

9장. 군사정권과 불교(2): 정치적 종속성과 분열주의
1. 계속되는 종속성, 맹목적인 지지
2. 불재법 체제와 분열주의
3. 소결

10장. 군사정권과 천주교(1): 조용한 10년, 격동의 20년
1. 통합 속의 협력: 조용했던 10년
2. 저항과 균열, 중대한 제도적 이익: 격동의 20년

11장. 군사정권과 천주교(2): 중대한 이익의 급증
1. 기득권 종교로의 발돋움
2. 1980년대: 중대한 이익의 급증
3. 결정적 계기들, 그리고 교회 내적 균열
4. 소결

덧붙이는 말
참고문헌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