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달마어록

품절

기본 정보
정가 10,000원
판매가 9,000원
저자/출판사 김호귀/정우서적
적립금 45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37
발행일 2012-05-01
ISBN 9788980231768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관련상품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달마어록
정가 10,000원
판매가 9,000원
저자/출판사 김호귀/정우서적
적립금 45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37
발행일 2012-05-01
ISBN 9788980231768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오늘날 전승되어온 중국선은 보리달마로부터 시작되었다. 달마가 전승한 선법을 조사선이라 하는데, 조사선의 가풍은 달마조사로부터 유래한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모든 사람은 붓다와 동일한 성품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자각하여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을 내세운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달마어록』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중국의 돈황 지방에서 새롭게 발굴된 자료이다. 소위 돈황의 선 문헌 가운데 하나로, 달마의 말씀을 전해주는 최고(最古)의 문헌이다. 이로부터 선의 역사와 사상은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책의 주요 본문인 『달마어록』을 이해하기 십도록 제1장에서는 보리달마의 선법과 그 특징, 보리달마와 중국의 선종, 보리달마 선버브이 전승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3장 『소실육문집』에는 『안심법문』, 『오성론』, 『혈맥론』을 수록하여 또 다른 달마의 법어를 살펴볼 수 있다.


저자소개

김호귀
동국대학교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박사를 졸업했다.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장 달마와 선종
제2장 돈황본 『달마어록』
제3장 『소실육문』

찾아보기


출판사 리뷰

보리달마(菩提達磨, 5~6세기)는 중국선의 초조로 추앙받고 있는 인물이다. 달마의 가르침은 선풍의 성격으로는 조사선(祖師禪)이라 말하고, 그 내용으로는 안심선(安心禪)이라 말한다. 그만큼 달마는 이전의 선법과는 색다른 선법을 중국에 전승하였다. 달마가 전승한 선을 조사선이라 말할 경우 조사는 달마조사를 가리키는 말이다. 곧 달마조사로부터 비롯된 선풍이라는 정도의 뜻이다. 그만큼 달마가 중국의 선종사에 끼친 영향은 막대하였다. --- p.22

현실이 그대로 진리라는 자각을 강조하는 선험적이고 본질적인 측면을 추구하는 인도적인 선은 이존(理存)의 측면이 강조되었다. 반면 현실 속의 자신보다도 자신 속의 현실을 내세우는 중국적인 선은 실존(實存)의 측면을 강조한 특징이 농후하다. 관법의 경우 자각하는 그대로 현실임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각을 강조하는 선은 기본적으로 이존(理存)의 특징을 지니게 마련이다. 그리고 현실을 자각의 현실로 추구하는 조사선의 입장은 지금의 일상을 강조하는 실존의 특징을 지니게 마련이다. 그래서 실존과 이존 사이에는 간격 없는 틈이 자리하고 있다. 바로 그 무분별(無分別)의 틈새를 메우려는 노력과 결실이 바로 보리달마라는 인물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 p.23

여법하게 마음을 안정시키라는 것은 벽처럼 마음을 안정시키라는 것이다. 여법하게 수행을 일으키라는 것은 깨침의 네 가지 실천이다. 여법하게 중생을 대하라는 것은 계율을 지켜 세간의 비난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법하게 공부해 나아가라는 것은 위의 갖가지 방법에조차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다. --- p.40

묻는다. 어찌하면 붓다를 볼 수가 있습니까.
답한다. 탐욕에 즉해서 탐욕의 형상을 보지 않고 탐욕의 이법을 보며, 고뇌의 형상을 보지 않고 고뇌의 이법을 보며, 몽환의 형상을 보지 않고 몽환의 이법을 보면 그것을 일체처에서 붓다를 보는 것이라 말한다. 이에 반하여 만약 이법을 보지 못하고 형상을 볼 경우에는 곧 일체처에서 귀신을 보는 것이라 말한다. --- p.100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