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

기본 정보
판매가 19,000원
저자/출판사 전경욱 지음/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72
발행일 2019-07-15
상품간략설명 불교 구음 라라리와 라리련의 한국적 전승 양상
ISBN 9788976419590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아라리의 기원을 찾아서
판매가 19,000원
저자/출판사 전경욱 지음/고려대학교출판문화원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72
발행일 2019-07-15
상품간략설명 불교 구음 라라리와 라리련의 한국적 전승 양상
ISBN 9788976419590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아라리'와 관련되는 '라라리', '라리련' 구음은 집시와 같은 유랑예인집단 또는 불교 승려들이 세계 여러 나라에 퍼뜨렸던 것으로 보인다.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선승들은 수백 년 동안 그들의 선시에서 '라라리'를 즐겨 노래했다. '아라리' 관련 구음들이 여러 지역으로 유포된 배경에는 유랑예인집단의 역할이 컸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남사당패처럼 인형극을 공연하는 유랑예인집단들이 전국을 돌아다니며 인형극 연행에서 이런 구음들을 노래했기 때문에, 이 구음들이 쉽게 유포될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책은 '라라리''라리련'에 대한 고찰을 통해 구음 연구라는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문학 예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들을 규명했다.

 


저자소개

전경욱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한국 전통연희 연구에 전념하면서, 최근에는 한국과 동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전통 연희를 비교연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한국의 전통연희(학고재, 2004), 한국의 가면극(열화당, 2007), 동아시아 가면극의 역사와 전승양상(집문당, 2017) 등이 있다.

 


목차

서론

 

1. 중국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2. 연극 등 문학예술 속에 나오는 라라리(囉囉哩)’라리련 (囉哩嗹)’

 

2. 일본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2. 연극 등 문학예술 속에 나오는 라라리(囉囉哩)’라리련 (囉哩嗹)’

 

3. 한국의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존재 양상

1. 고려조선시대 불교 서적에서 발견되는 라라리(囉囉哩)’

2. 고려조선시대 불교 승려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

3. 고려조선시대 문인들이 노래한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4. 고려속요에서 노래한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5. 조선시대 언해본과 소설에서 발견되는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6. 민요에서 노래하는 라라리(囉囉哩)’

7. 꼭두각시놀이에서 노래하는 라라리(囉囉哩)’

 

4.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의 관련 양상

1. 머리말

2. 불교적 구음으로서의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3.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4. 고려속요의 구음과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의 변이형

5. 소결

 

5. 동아시아 전통 인형극 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1. 머리말 145

2. 중국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1) 천주(泉州) 괴뢰희의 대출소(大出蘇)’

2) 보선(莆仙) 괴뢰희의 희붕 밟기(踏棚)’

3) 보전(莆田)선유(仙遊)목련희(目連戲)

3. 한국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4. 일본 인형극 구음의 전승 양상 및 그 성격과 기능

5. ‘라라리(囉囉哩)’, ‘라리련(囉哩嗹)’ 관련 구음의 동아시아적 보편성의 배경

6. 소결

 

6. ‘아라리구음의 보편성과 한국적 독자성

1. 머리말

2. 한국의 아라리관련 구음 사례

3. 외국의 아라리관련 구음 사례

(1) 중국의 사례

(2) 일본의 사례

(3) 조지아(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의 사례

(4) 터키의 사례

4. ‘아라리관련 구음의 유래

5. ‘아라리관련 구음의 세계성과 한국적 독자성

 

결론 라라리(囉囉哩)’라리련(囉哩嗹)’ 구음의 의의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