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신라시대에 자장 율사가 창건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하는 마곡사는 역사만큼 고풍스런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가람 배치 또한 여느 절과는 매우 다른데 사찰을 가로질러 흐르는 하천을 경계로 수행과 교화를 상징하는 공간이 각각 나뉘어 있다. 수많은 재난 속에서도 꿋꿋이 이어온 마곡사의 역사와 주변 경관의 아름다움을 통해 새로운 사찰 여행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박보하 (사진)
경남 거창에서 태어났으며 네 번의 개인전과 다수의 단체전을 가졌다. 1993년 에서 주최하는 올해의 사진가상을 수상하였고 1994년에는 코리아헤럴드에서 발행한 『Korean Culture』의 사진 촬영으로 한국일보에서 주관하는 한국출판문화상 사진예술상을 수상하였다. 한국의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사진들을 주로 촬영하고 있다.

 

김봉건 (건축)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런던대학교 도시계획학과를 졸업하였다. 현재 국립문화재 연구소 미술공예연구실장으로 재직중이다. 「전통중층목조건축에 관한 연구」「닫집에 관한 연구」「한국의 전통유교건축」「조선초기 다포집에 관한 연구」등의 논문이 있고「한국의 고건축 : 10-19호」「불교 상식 백과」「건축학전서 2- 한국건축사」등의 저서가 있다.

 

조명화 (연혁)
서울대학교에서 중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원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간송미술관 연구위원이다. 저서로는 「돈황강창문학의 연구」가 있고 「중국불교와 전기문학」「중국불교의 송찬문학」「범패와 전독」등의 논문이 있다.

 

이은희 (유물)
성균관대학교와 홍익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미술사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현재 국립문화재 연구소 미술공예연구실에 근무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고려 충렬왕대의 사경연구」「고려사경 변상도에 나타난 신장상 연구」「운흥사와 화사 의겸에 관한 고찰」「조선후기 미륵 보살도 연구」등이 있다.


목차

1. 봄의 사찰, 마곡사

2. 마곡사의 연혁
창건과 절이름의 유래
각순이 대중창을 하기까지
각순의 대중창 이후

3. 가람 배치와 건축
가람 배치의 변천
마곡사의 공간 구조
가람 배치의 교리적 해석
마곡사의 건물들

4. 마곡사의 유물
불화
대광보전 불상
현판
공예품
사경
석조물

5. 마곡사 가는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