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깨달음은 분별심을 버리는 것
“더 잘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더 못되기를 바라는 것과 같다”
중국 선종 제3조 승찬대사의 〈신심명〉은 발심부터 성불까지 우리가 가져야 할 신심에 관해 지극한 마음으로 남긴 사언절구의 146구 584자 게송이다. 일흔셋 시문으로 구성된 신심명은 선(禪)의 진면목, 중도(中道)의 요체가 간명하게 담겼다.
좋은 것을 얻으려고 하면 할수록 그만큼의 나쁜 것이 생길 수밖에 없고, 젊음을 추구하면 할수록 늙음이 코앞에 올 수밖에 없으며, 살려고 바둥거릴수록 죽음이 기다리고 있고 욕심을 부릴수록 불만의 마음은 깊어지게 되는 인생사. 조계종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쓸데없는 욕심에 끄달려 스스로 불구덩이에 들어가지 말고 하루빨리 마음을 가다듬어 선(禪)의 경지에 들어서야 할 것”이라 설하면서 갑진년 새해 ‘신심명 강설집’을 펴냈다. 총무원장 스님은 분별심을 버리고 방하착하는 삶으로 가기 위한 다양한 사례와 방편을 예로 들고 세심하고 담백하며 유쾌ㆍ통쾌한 강설로 선의 궁극 중도의 길을 적확하게 제시한다.
어떻게 하면 출세하고 남보다 돈을 많이 벌며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아서 나를 돋보이게 할 것인가. 건강과 장수, 내 자식 잘 살도록 잘 기르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를 달성하려면 욕심을 부려야 한다. 내 것을 빼앗기지 않고 방어하려면 명예도 세워야 하고 끊임없이 시시비비해야 하며 필요하면 남을 속이고 싸움도 마다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은 인과의 작용을 피할 수 없는 법. 인과는 분별심에서 나오는 것으로 고락(苦樂)의 과보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원하는 것이 없으면 원하지 않는 것도 없습니다. 성공을 바라는 마음이 없으면 실패할 염려도 없습니다. 이렇게 해야지 하는 바람이 없으면 저렇게 되면 안되는데 하는 걱정도 없습니다. 불보살과 나한은 물론 도(道)가 높을수록 수행이 깊을수록 무엇을 보거나 말하더라도, 무슨 생각을 하거나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마음이 불편하지 않습니다. 좋고 나쁜 옳고 그른 분별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인과적용을 받지 않아서 괴로움의 과보가 없습니다. 이를 중도의 마음이라 합니다.” 총무원장 스님은 “부처님께서 45년간 장광설을 〈화엄경〉 〈금강경〉 〈아함경〉 〈법화경〉 〈열반경〉의 오교시를 통해 중생에게 깨우침을 가르쳤으나 이 모든 내용을 한마디로 압축한다면 결국 분별심을 갖지 말라는 것”이라며 “분별은 인과를 낳고 인과는 윤회를 낳는다”고 거듭 강조한다. “부모 자식이나 가족 친지 친구 이웃 민족 등의 인간관계에 있어 정(情)이란 바로 나의 감정을 좋게 하기 위한 대상들에 불과합니다. 부모는 부모대로 자식은 자식대로 가족은 가족대로 고락의 업은 스스로 각자가 자업자득합니다. 부모는 자식의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생각하겠지만 따지고 보면 부모 자신의 감정을 좋게 하기 위해 자식이라는 대상을 선택했을 뿐입니다.”
총무원장 스님은 “어떻든 감정을 가진 중생은 감정의 프레임에 걸려서 다람쥐 쳇바퀴 돌 듯 생로병사와 희로애락을 반복하여 거듭할 수밖에 없다”며 “이러한 육도(천상, 인간, 수라, 지옥, 아귀, 축생)의 틀에서 벗어나려면 감정 자체를 없앨 수 있는 중도의 길을 찾아야 한다”고 설한다. “중도의 길을 가려면 매사에 있어서 감정의 속성을 잊지 말고 감정을 일으키지 않는 연습과 노력을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하려면 고락의 인과에 대한 철저하고 확고한 믿음, 신심을 가지고 일희일비(一喜一悲)하는 버릇을 고쳐 여여한 마음을 갖도록 해야 합니다.”
우리는 욱하는 마음에 화를 냈다가 ‘이제부터는 화를 내지 말아야지’ 하고 다짐을 할 때가 많다. 하지만 생각을 달리하면 화를 낸다는 것은 마음에 들지 않는 일이 있다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기에 화를 억지로 내지 않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다.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이라는 분별된 마음부터 없어야 한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이 따로 있다는 것이다. 원하고 바라는 마음을 놓아야 원하지 않고 바라지 않는 일도 생기지 않게 되는 법.
“제발 좋고 나쁨을 분별하지 말라. 옳고 그름의 시시비비를 분별하지 않으면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는 그대로 볼 줄 아는 지혜인이 되어야 합니다. 인과법칙의 속박에서 벗어나야 완전한 자유인이 되어 날마다 좋은 날 즉 일일시호일(日日是好日)이 될 것입니다.” 갑진년 새해 총무원장 스님이 우리에게 전하는 값진 당부다.



저자소개
진우스님

대한불교조계종 제37대 총무원장 진우스님은 대강백 백운스님을 은사로 출가했다. 1978년 관응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1998년 청하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지했다. 스님은 담양 용흥사 몽성선원 등 제방선원에서 정진했으며, 제18교구본사 백양사 총무국장 및 용흥사 주지 등을 지내며 본사와 말사의 종무행정을 두루 경험했고, 수행과 전법포교, 가람수호에 매진해 왔다. 이를 바탕으로 제18교구본사 백양사 주지를 역임하며 지방과 중앙의 종무행정의 조화로운 가교역할에 헌신했다. 진우스님은 조계종 호계원 재심호계위원으로 청정승가의 발원과 함께 수행종풍 진작에 진력했으며, 총무원 총무부장과 기획실장 등 중앙종무기관 주요 소임을 역임했다. 나아가 조계종 총무원장 권한대행 시기에는 종단의 안정과 화합을 위해 공덕을 쌓았다. 이어서 불교신문 사장으로 부임하여 고유한 전통문화와 부처님의 가르침을 사회에 널리 전하며 국민과 사회에 공헌하는 종교적 위상과 책무를 다하기 위해 노력했다.
스님은 2019년 대한불교조계종 제8대 교육원장으로 취임하여 ‘승가교육의 미래’라는 일념으로 교육 교역자의 의견을 경청하고 소통하면서 현실 여건을 극복하는 효율적 승가교육 발전에 진력해 왔다.
승가의 정진이 가회와 교감하는 공통체의 공덕으로 쌓일 수 있도록 주어진 자리마다 최선을 다해 온 스님은 2022년 9월1일 실시한 조계종 제37대 총무원장 선거에서 1994년 조계종단 선거제도 도입 후 경선없이 추대된 첫 총무원장으로 당선돼 종단사에 큰 획을 그었다. ‘진심으로 소통하고, 신심으로 포교하고, 공심으로 불교중흥의 새 역사를 열겠다’는 원력으로 종단을 이끌고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