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요가 철학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가수트라를 이해해야 하고, 요가수트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가수트라 주석을 이해해야 하며, 요가수트라 주석을 이해하려면 다시 요가수트라 주석의 주석(복주)들을 참고해야만 한다.

 

요가수트라 주석을 해설한 후대의 대가들 사이에서도 원저자의 생각을 저마다 다르게 파악한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러나 이들의 견해를 선택하거나 취합하여 원저자의 생각을 엮어볼 수 있다. 이 책은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의 산물이다.

 


저자소개

비야사

6세기 전후에 생존한 학자라는 사실 외에 그 이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 원래 비야사라는 이름은 인도 문학의 가장 위대한 작가이자 성현으로 유명하다. 비야사는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타를 저술한 전설적 인물로 알려져왔기 때문이다. 이 위대한 이름을 이 책의 지은이에게 부여한 것이 분명하다. 이 때문에 인도의 학자들 사이에서는 그의 정체성에 관해 두 가지 억측이 있었다. 하나는 요가수트라의 편찬자인 파탄잘리(Patanjali)가 이 책의 실제 지은이라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초기 상키야 철학의 대가인 빈디야바신(Vidhyav?sin)을 지은이로 간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에 의거한 문헌학적 연구로 보면 이들은 이 책이 출현하기 이전에 생존했던 인물들이다.

 


목차

해 제

1. 요가수트라와 요가 철학

2. 요가수트라의 성립과 구성

2.1. 요가수트라의 저자

2.2. 요가수트라의 구성

3. 요가수트라 주석

3.1. 저자의 생존 연대

3.2. 요가수트라 주석의 주석

3.3. 요가수트라 주석의 번역

4. 요가수트라 및 주석의 주제

4.1. 주제의 대강(大綱)

4.2. 주제의 세목과 경문의 요점

 

본 문

1장 삼 매

2장 수 단

3장 초능력

4장 독 존

 

부 록

부록 1 주제별 역주

1-1. 요가수트라의 개시 선언

1-2. 요가는 삼매이다

1-3. 물질 원리의 공통 요소인 3

1-4. 마음의 의미, 전변설, 식별지

1-5. 유상 삼매와 등지의 분류

2-1. 요가주구사론에서 상통하는 업의 관념

2-2. 3종의 단식 방법

2-3. 16분에 대한 지식(Ṣoḍaśakalāvidyā)

2-4. 좌법 해석의 다양한 양상

2-5. 레차카, 푸라카, 쿰바카

2-6. 3 조식과 제4 조식

3-1. 요가 철학의 전변설과 유부의 4논사

3-2. 우주의 전체 구도

3-3. 잠부 주(염부제)의 구조

3-4. 다섯 가지 숨(5)

3-5. 초능력 일람

3-6. 초능력과 식별지

4-1. 훈습과 잠세력과 기억의 관계

4-2. 잠재업과 훈습의 관계

4-3. 마음의 객체성 논증

4-4. 불가능한 사태의 비유

부록 2 요가수트라 주석의 원문

1prathamaḥ samādhipādaḥ

2dvitīyaḥ sādhanapādaḥ

3tṛtīyo vibhūtipādaḥ

4caturthaḥ kaivalyapādaḥ

부록 3 용어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