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시불교 자료론>

목차

001. [연구의 목적과 범위]

002. [구사론 각품소재 아함경문과 현존아함 및 니카야의 해당....]

003. 계품

004. 근품

005. 세품

006. 업품

007. 수안품

008. 현성품

009. 지품

010. 정품

011. 파집아품

012. 구품 비교의 결과

013. [이설 및 미발견 경문이 지닌 의미]

014. 십이처설과 존재의 인식

015. 오수근의 멸처와 색계사선

016. 사제의 행상과 돈.점 현관

 


2. <원시불교의 연기사상연구>

목차

001. <1> 연기설의 제유형

002. 유형 정리의 방향

003. 십이지 미비형

004. 십이지 완비형

005. 십이연기 응용형

006. <2> 연기설의 위상과 기존해석의 검토

007. 원시불교에 있어서 연기사상의 위치

008. 기존의 이해와 그 검토

009. <3> 연기의 양면성

010. 전후지분미비형과 단기성

011. 구기성이 언표된 미비형

012. 촉수사상 사법과 연기의 두 측면

013. 십이지완비형에서의 양면성

014. <4> 십이지분의 체상과 환멸문의 위상

015. 연기지분에 대한 의설상의 이해

016. 환멸문의 위상

017. <5> 연기사상의 전개

018. <6> 여타 교설의 연기론의적 이해

019. 삼과분류

020. 십이처설과 육촉처

021. 십팔계설

022. 오온과 오취온설

023. 무시증법

 


3. <원시불교와 형이상학>

목차

001. <1> 영육론에대한 시도적 접근

002. 서양의 영육론과 그 난점

003. 영육에 대한 원시불교의 기본입장

004. 원시불교의 명신관

005. <2> 형이상학은 가능한가

006. Kant의 비판

007. 철학적 주제의 장니카야 제 1

008. 산자야의회의

009. 범망경의 비판

010. 로힛차경의 방법론

011. <3> 깨달음의 형이상학

012. 교육자의 존재와 역할

013. 피교육자의 인식방식의 전환

014. 수행자의 계위와 전환의 과정

015. 원시불교의 깨달음

016.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