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공자와 유가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는 책. 공자를 위시한 유가가 단순히 하나의 획일적이고 편협한 관점이 아니라, 하나의 보편적이고 다양한 관점에 근거하여 인간의 현실적 삶을 그 중심에 두고 인간이 인간되는 존재 가치를 드러내고 했다는 점을 강조한다. 


저자는 이러한 견해가 오늘날 사회 구성원들에게 자문화와 타문화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는지, 도덕에 근거하여 어떻게 자신들의 삶에 대한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지 등의 문제의식에 대한 하나의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다고 말한다. 부록에서는 유가, 도가, 법가가 제출한 정치사상을 다양하게 논의하며, 바람직한 정치가 무엇인지 심도 있게 고찰하였다.


목차

책머리에 


1장 하늘은 무엇을 말하는가? 

1. 천론의 의의 

2. '하늘' 에 대한 역사적 전통 

3. 명과 하늘에 대한 공자의 이해 

1) 명에 대한 이해 

2) '하늘'에 대한 이해 

4. 도덕성에 대한 자각과 반성 

1) 도덕적 욕구와 책임에 대한 경외 : 외천명 

2) 도덕성에 대한 자각과 반성 : 지천명 

5. 가치와 평가 


2장 인은 실현될 수 있는가? 

1. 인론의 의의 

2. 인도의 근본: 인 

3. 인의 실천 공부 

1) 극기의 공부 

2) 인과 애인의 관계 

4. 인의 실현과 확충 

1) 애인의 행위 표준: 충서 

2) 애인의 전개와 확충: 효제에서 제중까지 

5. 가치와 평가 


3장 역의 실천은 가능한가? 

1. 역론의 의의 

2. '자왈' 문장의 시대사적 고찰 

1) 공자와 <역>의 관계 

2) '자왈' 문장의 저자와 시대 문제 

3. '자왈' 문장의 철학적 특성 

1) 역의 의미 

- 상과 효의 역 

- 개물성무의 '역' 

2) 성명과 천도의 조화 

3) 진덕수업의 실천 

4. 가치와 평가 


4장 정치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 

1. 정치사상의 의의 

2. 정명의 실현 

1) 덕에 근본한 정치: 덕치 

2) 명과 실의 통일 

3. 백성에 근본한 정치의 전개 

1) 민본의 정치 

2) 민의의 정치 

4. 대동세계의 실현 

5. 가치와 평가 


5장 경제의 균등한 분배는 가능한가? 

1. 경제사상의 의의 

2. 경제사상의 시대적 배경 

3. 경제질서의 확립을 위한 토대 

1) '외로움'과 '이익'의 관계 

2) 백성들의 자연 생명 보장 

4. 생산·소비·분배와 경제의 안정 

1) 생산론: '서민' 

2) 소비론: '절용' 

3) 분배론: '균등' 

5. 가치와 평가 


6장 도덕실천은 가능한가? 

1. 도덕실천론의 의의 

2. 도덕성의 확충과 도의 실천 

1) 생명과정에서의 도덕성의 확충 

2) '솔성'을 통한 인도의 실천 

3. 중화의 실현: 치중화 

1) 중용의 의미 

2) 중화의 실현 

4. 내외합일의 도: 지성 

5. 가치와 평가 


7장 천하의 평화는 오는가? 

1. <대학>의 시대사적 고찰 

2. 전환기 철학으로서의 <대학> 

1) 기존의 천하 개념에 대한 일대 수정 

2) 대화합으로의 전환 

3. '평천하'의 실천적 근거 

4. '평천하'의 정치적 성격 

1) '혈구'의 도리 

2) 덕본재말의 도리 

5. 가치와 평가 


부록 


<바람직한 정치는 무엇인가?> 

- 유가·도가·법가를 중심으로 - 

1. 정치사상의 의의 

2. 정치사상의 기본 구도 

1) 정치의 방법 

2) 정치의 기초 

3. 정치사상의 궁극 목표 

1) 정치의 출발 

2) 정치의 궁극 목표 

4. 가치와 평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