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극의 원형을 찾아서 시리즈 두번째 책. 이번 주제는 무속신앙, 민속신앙에 긴밀히 접합되어 한국인의 사고와 생활양식, 생사관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 불교의례이다. 불교의례의 역사와 음악, 미술, 연극적 요소를 공연예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각의 주제에 따라 선보이는 밀도있는 연구는 그 자체로도 기록적 가치가 있지만, 무엇보다도 공연예술 창작의 꽃을 피우는 데 귀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제1부 '불교의례의 역사적 개관'과 제2부 '불교의례의 음악, 미술, 연극적 요소'로 나뉘어 있다. 제1부에는 시대를 거쳐 지속, 변형되어 온 불교의례의 역사, 그 유형과 구조, 다른 문화와의 관련성 등을 살피는 다섯 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제2부에는 불교의례를 의복, 회화, 장엄, 무용, 범패 등 미시적 측면에서 보다 세밀하게 논의한 여덟 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목차

두번째 책을 펴내며?양혜숙
A Summary? Searching for the Roots of Korean Performing Arts: Buddhist Rituals
서설 / 불교의례와 공연예술의 만남?구미래

제1부 불교의례의 역사적 개관
불교의례의 역사적 전개와 교화 방편?김상현
불교의례와 민속예술?홍윤식
불교사상과 의례 구조?양은용
불교의례에서 시공간의 상징성?구미래
굿으로 읽는 불교의례?조성진

제2부 불교의례의 음악, 미술, 연극적 요소
홍가사(紅袈裟)의 형태와 부착물에 대한 고찰?심상현
조선시대 불교의식과 불교회화?정명희
수륙재(水陸齋)의 연유(緣由) 및 설행(設行)과 의문(儀文)의 정합성?이성운
작법무(作法舞)의 연원과 기능에 대한 고찰?심상현
중세 한국의 강경(講經)과 창도(唱導)?윤광봉
영산재(靈山齋)와 범패(梵唄)?채혜련
한중(韓中) 불교음악의 전통과 계승?윤소희
『삼국유사』 원효설화(元曉說話)의 스토리텔링과 불교사상?한성자

주(註)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