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민족의 불교적 사유체계를 업설인 연기사관에 입각하여 기술한 <한국불학사> 신라시대편. 인도, 중국, 일본과 다른 우리의 사상적 패러다임은 무엇이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기호화할 수 있는지 고찰하였다. 한국 불교 또는 불학의 특징을 종합성과 독창성 또는 일승과 일미의 코드로 정리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한국사상사와 한국철학사 기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자 했다.


목차

제1장 한국 불교의 정체성과 인식 틀
1.한국 불학의 보편성과 특수성
2.한국 불학의 무늬와 살결
3.불학과 불교학의 화쟁과 회통

제2장 신라불교사상사
1.자장의 대승학-'호법'과 '정율'의 응축과 확산
2.문아의 일승학-중관과 유식의 일승적 화회
3.원효의 통일학-부정과 긍정의 화쟁회통법
4.의상의 이기학-성기와 연기의 긴장과 탄력
5.월명의 문화관
6.무상의 삼구론-무상선, 남북종 이전의 한국선의 원류
7.통일신라시대 유식학과 화엄학

제3장 신라 선사상사
1.새로운 수행법의 전개
2.신라 하대 선문화의 형태
3.신라 하대 선문화의 발전
4.깨달음에로의 일대 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