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간화선과 묵조선은 모두 조사선풍을 바탕으로 전개된 것으로 일종의 수행의 방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간화선은 화두참구를 통하여 깨침을 목표로 하는 수행방식이고, 묵조선은 좌선수행을 통하여 본래성불의 도리를 지금 그 자리에서 몸소 구현하는 수행방식이다. 여기에서 소개하는 묵조선 좁게 말하면 수많은 선의 수행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보다 넓게 말하면 선법의 자체로서 그 전체이다. 그것은 선법의 성격을 온전하게 현성하여 선 그자체로 살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 선의 직접적인 원류는 석가모니로부터 비롯되었다. 곧 석가모니의 깨침과 더불어 출현하였다. 때문에 선은 불교와 함께 형성되었고 발전되었다. 이로써 선은 시대가 지나면서 다양한 수행방식 및 문화를 도출시켰다.

저자소개
김호귀
 
현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동국대학교 선학과에서 「묵조선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 받음.
『묵조선 연구』『묵조선의 이론과 실제』『묵조선 입문』『선과 좌선』『선문답의 세계』『조동선요』『현대와 선』『게송으로 풀이한 금강경』『길장 금강반야경소』『금강경 주해』『규기 금강경찬술』『원효 열반경종요』등의 저서 외 기타 다수의 논문.

목차
 
제1부 선법의 역사
1. 불교의 삼보와 출가정신
2. 선법의 원류
3. 붓다의 선정수행
4. 사선과 팔정
5. 구차제정
6. 공의 의미
7. 소승불교의 선정
8. 대승불교의 선정
9. 선법의 중국 전래
10. 보리달마의 선법
11. 보리달마 선법의 특징
12. 보리달마와 중국선
13. 보리달마 선법의 전승
14. 초기 선종의 전법상승
15. 도신대사의 선법
16. 우두법융의 선법
17. 홍인대사의 선법
18. 동산법문의 전개
19. 북종선의 출현
20. 북종선의 특징
21. 대통신수의 선풍
22. 남종선의 출현
23. 남악회양의 선법
24. 청원행사의 선법
25. 하택신회의 선법
26. 영가현각의 선법
27. 남양혜충의 선법
28. 선종오가의 출현

제2부 조동종의 원류
29. 석두희천의 선법
30. 약산유엄의 선법
31. 운암담성의 선법
32. 동산양개의 선법
33. 조산본적의 선법
34. 운거도응의 선법

제3부 조동종지의 형성과 전개
35. 조동종의 전승
36. 조동선법의 원류
37.『 참동계』
38.『 초암가』
39.『 보경삼매』
40.『 오위현결』
41.『 삼종삼루』
42.『 삼종타』
43.『 오위군신지결』
44.『 사종이류』
45.『 팔요현기』
46. 운거도응의 조동종지

제4부 묵조선의 형성
47. 묵조선의 출현
48.『 묵조명』
49.『 지유암명』

제5부 묵 조선의 성격과 수행
50. 진리의현성〔現成公案〕
51. 가부좌의 수행〔只管打坐〕
52. 심신과 그 자각〔本?證自覺〕
53. 비사량의 좌선〔非思量底〕
54. 신심탈락의 경험〔身心脫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