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상세 정보

뒤로가기

체계불학:신념 체계로서의 불교학

기본 정보
정가 29,000원
판매가 26,100원
저자/출판사 김성철/오타쿠
적립금 1,31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18
발행일 2022-12-19
ISBN 9791192723105
배송
수량 up  down  
색상 옵션
상품 목록
상품 정보 가격 삭제
총상품금액(수량) 0
구매하기
구매하기
상품 상세 정보
상품명 체계불학:신념 체계로서의 불교학
정가 29,000원
판매가 26,100원
저자/출판사 김성철/오타쿠
적립금 1,31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18
발행일 2022-12-19
ISBN 9791192723105

결제 안내

배송 안내

  • 배송 방법 : 택배
  • 배송 지역 : 전국지역
  • 배송 비용 : 2,500원
  • 배송 기간 : 2일 ~ 3일
  • 배송 안내 :

교환/반품 안내

환불 안내

환불시 반품을 확인한 후 3일 이내에 결제 금액을 환불해 드립니다.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경우는 신용카드 승인을 취소하여 결제 대금이 청구되지 않게 합니다.
(단, 신용카드 결제일자에 맞추어 대금이 청구 될수 있으면 이경우 익월 신용카드 대금청구시 카드사에서 환급처리됩니다.)

서비스문의 안내

책소개


    서구에서 도입된 인문학적 불교학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체계불학(Systematic Buddhology)라는 이름으로 '신앙과 수행으로서의 불교학', '신념체계로서의 불교학'의 필요성을 제창한 경주 동국대 불교학부 김성철 교수의 논문 모음집이다. 불교의 체계화, 불교의 일미성(一味性)과 관련된 총 13편의 논문을 주제 별로 묶어서 '제1부 - 체계불학의 필요성과 보리도차제론, 제2부 - 불교 윤리와 교육의 체계화, 제3부 - 불교 교학의 재해석'의 3부로 구성하였다.



저자소개


저자 : 김성철

법명은 도남(圖南). 1957년생.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서울캠퍼스 대학원에서 인도불교를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년 현재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한국불교학회 법인이사, 상임고문이다.
동국대 경주캠퍼스 불교문화대학장, 불교문화대학원장, 불교사회문화연구원장, 티벳장경연구소장과 사단법인 한국불교학회 제23대 회장 겸 이사장, ≪불교평론≫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여 권의 저·역서와 80여 편의 논문이 있으며, 저서 가운데 ≪원효의 판비량론 기초 연구≫ 등 3권이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고, ≪승랑 - 그 생애와 사상의 분석적 탐구≫는 한국연구재단 10년 대표 연구 성과로 선정된 바 있다 
제6회 가산학술상(가산불교문화연구원, 1996), 제19회 불이상(불이회, 2004), 제1회 올해의 논문상(불교평론, 2007), 제6회 청송학술상(청송장학회, 2012), 제10회 반야학술상(반야불교문화연구원, 2020), 제2회 탄허학술상(한국불교학회, 2021)을 수상하였다.
홈페이지 다음 카페 - 김성철 교수의 체계불학(www.kimsch.net)를 운영한다.
 




목차

  • 책머리에 3
    차 례 7
     
    제1부 - 체계불학의 필요성과 보리도차제론 11
     
    1 Systematic Buddhology와 보리도차제론 13
    Ⅰ. 근대적 불교학의 형성과 그 문제점 13
    Ⅱ. 조직신학에 비견되는 체계불학의 필요성 24
    Ⅲ. 체계불학의 과제 29
    Ⅳ. <보리도차제론>의 체계불학 32
    * 수행에 들어가기 전에 갖추어야 할 지식 35
    1. 하사도 - 삼악도를 벗어나 … 인간이나 천상에 태어나는 길 36
    2. 중사도 - 번뇌를 끊고 … 열반을 얻고자 하는 출리심의 성취 36
    3. 상사도 - 대보리심을 발하여 불과를 위해 보살행을 닦는 길 36
     
    2 현대 불교학의 과제와 해결 방안 43
    Ⅰ. 문제의 제기 43
    Ⅱ. 인문학적 불교학의 형성과 한계 47
    Ⅲ. 기독교 신학과 대비한 현대 불교학의 문제점 50
    Ⅳ. 인문학과 불교학의 공통점과 차이점 54
    Ⅴ. 향후 불교학의 바람직한 방향 58
    Ⅵ. 체계불학의 한 예 - 티벳의 <보리도차제론> 60
     
    3 불교학의 식민성 극복을 위한 길 63
    Ⅰ. 현대불교학의 빛과 그늘 63
    Ⅱ. 체계불학의 필요성 67
    Ⅲ. 체계불학에 토대를 둔 실천불교학의 필요성 72
    Ⅳ. <보리도차제론>의 체계불학 76
    Ⅴ. 실천불교학의 정립을 위한 몇 가지 단안 83
    1.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84
    2. 불교학자의 역할은 무엇일까? 85
    3. 출가자는 노동을 해서는 안 되는가? 86
    4. 보살도를 지향하는 대승불교의 출가와 재가는 평등한가? 87
    5. 불교신행의 현장에서 무엇을 가르쳐야 할 것인가? 88
     
     
    4 티벳불교의 수행체계와 보살도 91
    Ⅰ. 티벳불교의 형성과 <보리도차제론> 91
    Ⅱ. <보리도차제론>의 수행체계 100
    예비적인 가르침 103
    수행의 준비 104
    하사도 106
    중사도 110
    상사도 112
    Ⅲ. 보살의 마음 - 종교심, 도덕성, 출리심, 보리심, 청정견 123
     
     
    제2부 - 불교 윤리와 교육의 체계화 125
     
    5 출가자와 재가자의 바람직한 관계 127
    Ⅰ. 출가자와 재가자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127
    1. 초기불전에서 말하는 출가자와 재가자 129
    2. 대승불전의 출가자와 재가자는 보살로서 동등한가? 131
    3. 불교지도자의 신분에 대한 재검토 134
    Ⅱ. 출가자의 삶과 재가자의 수행 목표 135
    1. 출가자는 최소한 어떻게 살아야 할까? 136
    2. 재가자는 최대한 어느 경지에까지 오를 수 있을까? 139
    Ⅲ. 출가자와 재가자의 바람직한 관계 143
    1. 재가자를 위한 출가자의 역할 143
    2. 출가자를 위한 재가자의 역할 146
     
    6 생활윤리로 바로 서지 못하는 계율 153
    Ⅰ. 깨달음과 계행의 관계 153
    Ⅱ. 재가불자에게 계행이 중요한 이유 156
    Ⅲ. 인과응보와 계행에 대한 유식학적 조망 160
    Ⅳ. 불자들이 계를 잘 안 지키는 이유 164
    Ⅴ. 계행의 생활화를 위한 제언 167
     
    7 재가불자교육의 체계화를 위한 시론 173
    Ⅰ. 들어가는 말 173
    Ⅱ. 불교의 세계관, 우주론이 제시되어야 한다. 178
    Ⅲ. 불교신행의 목표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185
    Ⅳ.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190
    Ⅴ. 출가자와 세속을 매개하는 전문 인력이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197
    Ⅵ. 참회기도법이 새롭게 개발되어 적극 보급되어야 한다. 200
    Ⅶ. 맺는말 205
     
    제3부 - 불교 교학의 재해석 211
     
    8 초기불교와 대승불교 - 단절인가, 계승인가? 213
    요약 213
    I. 대승불전은 불설인가? 215
    1. <대승장엄경론>의 대승불설론에 대한 검토 215
    2. 티벳불교의 뗄마(gTer Ma)와 위경(僞經)의 문제 220
    3. 불설과 비불설, 어떻게 판정할 것인가? 225
    II. 초기불전과 아비달마교학에서 찾아본 대승불교 교리 228
    1. <본생담>의 보살과 대승 보살들의 육바라밀 228
    2. 삼천대천세계설(三千大千世界說)과 타방불국토 231
    3. 뗏목의 비유와 <반야경>의 법공 234
    III. 대승불교는 양파의 껍질과 같은 불교의 본질이다. 238
    참고문헌 240
     
    9 대승신화와 가상수행, 그리고 불교의 미래 245
    Ⅰ. 종교신화 - 진실인가 허구인가? 245
    1. 몇 가지 힌두신화 245
    2. 종교신화는 허구인가? 250
    Ⅱ. 대승신화의 가치와 대승의 기원 253
    1. 몇 가지 대승신화 253
    2. 대승신화의 종교적 효력 260
    3. 티벳의 뗄마(gTer Ma) 전통에서 말하는 대승의 기원 262
    Ⅲ. 금강승의 가상수행과 불교의 미래 264
    1. 티벳 금강승의 가상수행 265
    2. 현대의 가상문화와 불교의 미래 272
     
    10 화엄사상에 대한 현대적 이해 277
    Ⅰ. 화장장엄세계의 성립신화 277
    Ⅱ. 화장장엄세계에 대한 합리적 해석 286
    1. 화엄신중의 세계 286
    2. 화장장엄세계의 구조 288
    3. 상즉상입의 의미에 대한 과학적 해석 294
    Ⅲ. 화엄신화와 정보통신사회 301
     
    11 <관음현의>의 여래성악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307
    국문초록 307
    Ⅰ. <관음현의>의 저자와 여래성악설의 문제 309
    Ⅱ. <관음현의>의 구성과 여래성악설의 의미 312
    1. <관음현의>의 구성과 여래성악설의 위치 312
    2. 오종불성론과 여래성악설의 의미 317
    Ⅲ. 여래성악설의 정합적(整合的) 이해를 위한 모색 322
    1. 지의의 저술에서 찾아본 여래성악설 323
    2. 여래성악설의 연원 - <유마경>, 아비달마교학, <본생담> 325
    3. “여래에게 성(性)으로서의 악(惡)이 있다.”는 오해 329
    4. 여래라고 해도 법문(法門)으로서의 악을 끊을 수 없다. 332
    Ⅳ. ‘여래성의 악’에 근거한 여래의 용악(用惡)과 행악(行惡) 334
    참고문헌 341
     
    * 독각행자 영산회상도 - 익명의 불교도 344
     
    12 무란 무엇인가? 345
    Ⅰ. 무와 더불어 사는 우리 345
    Ⅱ. 무는 어떻게 논의되었나? 347
    1. 서구사상의 무 348
    2. 인도사상의 무 352
    3. 중국사상의 무 356
    Ⅲ. 무는 어떻게 조성되는가? 359
    Ⅳ. 무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361
    1. 세계 내의 무 362
    ⑴ 시간 속의 무 362
    ⑵ 사유 속의 무 366
    2. 세계 밖의 무 368
    3. 세계 밑의 무 371
    Ⅴ. 종교적 무 375
    1. 절대무의 자각과 논리 377
    2. 절대무의 윤리와 종교 382
     
    13 일상과 깨침 385
    Ⅰ. 일상이란? 385
    Ⅱ. 일상의 해체와 구성 388
    1. 인지적 일상의 해체와 구성 391
    ⑴ 중관적 해체와 구성 393
    개념의 해체와 구성 393
    관계의 해체와 구성 397
    판단의 해체 399
    ⑵ 화엄적 해체와 구성 403
    2. 감성적 일상의 해체와 구성 409
    Ⅲ. 다시 일상으로 413
    1. 정화된 하나의 분별 413
    2. 해체의 나락과 탈출 416


상품사용후기

상품후기쓰기 모두보기

글읽기 권한이 없습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출입을 금합니다.

성인인증하기

상품 Q&A

상품문의하기 모두보기

게시물이 없습니다

판매자 정보